•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아가치관 검사 타당화 연구 -자아가치관 일치도 척도를 중심으로- (A Validation Study of Self Concept Inventory: focused on self concept congruenc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09.03
18P 미리보기
자아가치관 검사 타당화 연구 -자아가치관 일치도 척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
    · 수록지 정보 : 상담학연구 / 10권 / 1호 / 125 ~ 142페이지
    · 저자명 : 유정미, 김정규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면적인 자기 개념(self concept)을 측정하는 자아가치관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검사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미흡 했던 자아 가치관 일치도에 대한 연구를 보강하여, 자아 가치관 일치도의 문항 분석을 추가하고, 모호한 문항을 수정하였다. 본 연구의 임상 집단은 사고장애나 망상이 극심하지 않으며, DSM-IV 축 2 장애가 공병하지 않는 정신과 입원 환자들로, 정신분열병 환자 24명, 양극성 장애 환자 15명, 알콜 의존 환자 20명으로 총 59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비 임상집단은 그들과 연령과 학력이 대응되는 비 임상집단 170명의 자료가 분석이 실시되었다. 자아가치관 타당화 연구에 사용된 검사지는 자아가치관 검사와 수렴 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MMPI 168 적응검사(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BAI(Beck's Anxiety Inventory), SEQ (Rosenberg Self-Esteem Questionnaire)였다. 이 검사지들은 선행 연구와 다른 척도 중 널리 쓰이는 검사지를 통해 검증하기 위해 선정 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가치관 검사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 alpha는 현실적 자아가치관에서 .817-.887, 자아가치관 일치도에서 .913-.941였으며, Spearman-Brown coefficient는 현실적 자아가치관은 .67-93, 자아가치관 일치도는 .87-.93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둘째, 자아가치관 검사의 기준타당도를 구하기 위해 임상집단과 비 임상집단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을 공변인으로 하고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신분열병과 알콜 의존 집단은 비 임상집단보다 모든 척도에서 유의미하게 점수가 낮았으나, 양극성 장애 집단은 비 임상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추가적으로, 기준타당도 검증을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대상인 모든 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했을 때는 전체 판별적중률은 67.7%였고. 양극성 집단을 제외 판별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판별적중률은 80.4%로 높아졌다. 양극성장애 집단을 제외 하였을 때 자아가치관 검사는 임상 집단 간 서로 의미 있게 구분하였다. 셋째, 자아가치관의 구성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자아가치관검사와 MMPI 168 적응검사, SEQ, BAI의 점수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자아가치관 검사와 SEQ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BAI와 MMPI 168 적응검사의 하위 임상척도들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볼 때 자아가치관 검사는 높은 신뢰도와 기준타당도, 구성타당도를 확보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자아가치관 일치도의 문항분석을 통해 자아가치관 일치도 76문항 중 32문항을 삭제하고 새로 5문항을 추가하여 총 49문항으로 자아가치관 일치도 척도를 재구성 하여 검사의 효율성을 증가시켰다. 연구 결과, 자아가치관 검사가 임상 현장 및 상담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만큼 신뢰로운 검사이며, 임상 및 상담 현장에서 좋은 척도가 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ation of the self-concept inventory focusing on the self-concept congruence part which was lack previously. This study formed the clinical group consists of 24 schizophrenic patients, 15 bipolar disorder patients, and 20 alcohol dependent patients who are the age between 20 and 60 and the non-clinical group of 170 who are similar in age and education. The study subjects were tested for self-concept inventory, MMPI168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BAI (Beck's Anxiety Inventory), and SEQ (Rosenberg Self-Esteem Questionnaire). In reliability test of the self-concept inventory was showing high level of reliability. To get the criterion related validity,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f covariance letting the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 of both clinical and non-clinical group as the covaria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score of schizophrenic and alcohol dependent patient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every scal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to test the criterion related validity, the validity hit ratio was 67.7% when the whole clinical group was tested. However, when the test was conducted to the group excluding the bipolar disorder patients, the criterion hit ratio was higher at 80.4%. When excluding the group of bipolar disorder patients, the self-concept inventory divided the groups significantly. To get the construct validity, this study compared the correlations of the self-concept inventory, MMPI 168, SEQ, and BAI scores.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concept inventory and SEQ while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concept inventory and the sub-clinical scales of BAI and MMPI 168.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s in the self-concept congruence and deleted 32 questions out of 76 self-concept congruence questions and added five questions comprising the total of 49 question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test.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self-concept inventory is very reliable test enough to be usedat actual clinical practices and suggest that it would be a great scale to detect the change of the patients at actual practices through researches on self-concept congruence scale.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som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considere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through the suggestions for the succeeding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담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