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학영재학교에서 천문학 전공 희망자의 학습자 정체성 탐색 (Exploring Learner Identity of Gifted Students Who Want to Major in Astronomy in a Science Gifted School)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0.10
27P 미리보기
과학영재학교에서 천문학 전공 희망자의 학습자 정체성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0권 / 19호 / 329 ~ 355페이지
    · 저자명 : 유은정

    초록

    본 연구는 2015년 3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총 3년 3개월에 걸쳐 천문학 전공을 희망하는 3명의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어린 시절 과학 학습의 특징과 과학영재학교라는 맥락이 학습자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그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천문학 전공을 희망하는 과학영재의 학습자 정체성에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유년기 동안 강렬하게 과학 독서에 몰입했던 시기가 초등 저학년에 공통으로 존재하며, 사교육과는 거리가 먼 자기주도학습을 통해 과학 학습을 진행해왔으며, 과도한 지적 흥분인 호기심, 가슴 떨림, 설렘, 신비함 등의 감정적 피드백을 통해 천체에 대한 흥미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에서의 결핍과 소외를 오히려 집중된 기대로 역전시킨 과학영재만이 천문학 전공 선택에 흔들림이 없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이 천문학 전공을 희망하는 학습자에게 어떻게 참여와 소외 기제로 작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본질적인 성찰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three years and three months from March 2015 to June 2018, and three science-gifted students wishing to major in Astronom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ir narratives on the features of science learning in their childhood and the context of science gifted school for those who wish to major in Astronom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identity of gifted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y all intensely immersed in science reading in their primary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ey have also progressed in science learning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instead of private education. Also, they were able to develop their interest in Astronomy by receiving very intense emotional feedback such as curiosity, heart racing, thrilling, mysterious, and excessive intellectual excitement. Only the students, who reversed deficiency and alienation experienced as a major in Astronomy with a rather concentrated expectation, showed a tendency to remain unchanged in choosing their major.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evoke the essential reflection on how the science gifted school curriculum works as a mechanism for participation and alienation to science gifted students who want to major in a specific science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