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배자 모방하기 - 18세기 인도의 영국인 남성후원자 초상 (Mimicking the Masters : 18th-century Portraits of British Male Patrons in Indi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0.07
28P 미리보기
지배자 모방하기 - 18세기 인도의 영국인 남성후원자 초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39호 / 355 ~ 382페이지
    · 저자명 : 구하원

    초록

    본 논문은 1773년부터 1805년 사이 인도의 캘커타가 “다인종 상업도시(multi racial-corporate city)”에서 “식민도시(colonial city)”로 변모하며 영국 식민통치의 성격이 크게 변화하던 시기에 인도와 영국의 화가들이 당시 영국인 남성 후원자를 그린 방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인도인 화가들이 남긴 영국 남성의 초상화는 대부분 전형적인 무굴 초상화 양식을 따르고 있어 강력한 왕권과 이에 기댄 후원자의 권력을 상징하였다. 그러나 인도인 화가들이 18세기말부터 ‘회사양식 회화’를 생산하는 장인으로 지위가 격하되면서 영국인의 초상보다 여러 직업이나 카스트 등 인도인의 다양한 유형을 그리며 제국의 분류체계를 시각화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에 반해 유럽인 화가들이 남긴 초상화는 그 대상의 지위와 성향을 부각시키며 관객, 즉 인도인과 인도에 거주하는 영국인들에게 영국 통치가 지향하는 모습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18세기말 인도에서 특히 유행하였던 가족 초상화는 낯선 환경에서 인도인들에게 둘러싸여 있어도 영국적인 가정생활을 모방하며 영위하는 영국인 가장과 그 가족을 그리고 있다. 이런 회화는 인도뿐 아니라 본국의 관객도 염두에 두며 인도 생활의 정상성(normality)과 함께 인도를 지배하는 본인들의 특수한 상황도 부각하였다. 결국 인도에 대한 태도가 협조에서 지배로 빠르게 변화하였던 시기, 남성 후원자 초상의 변화로 영국 식민통치가 어떤 모습을 모방하며 지향하였는지 알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portraits of British male patrons by Indian and European artists during the period of 1773 to 1805, when Calcutta was shifting from a “multiracial corporate city” to a “colonial city.” Portraits by Indian painters mostly follow the typical Mughal portrait, which symbolized kingship and authority of the depicted. However, as the Indian painters became regarded as craftsmen producing ‘Company style paintings’ in comparison to the European ‘artists’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in place of portraits, they were commissioned to paint animals and flowers, or typological paintings of occupations and castes, which ultimately aided in visualizing the classificatory systems of the empire.
    On the other hand, portraits of single persons by European artists emphasized the sitter’s social position or character as an ideal ruler, particularly towards an audience of the British living in India as well as Indians under their rule. Conversation pieces, which garnered much popularity in Calcutta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depict the British family and its head, enjoying ‘English’ ways of life in spite of the exotic landscape and Indian servants surrounding them. These paintings also aimed to convince the audience of the metropole, as well as of India, of the ‘normality’ of the patrons’ lifestyles in India as well as their unique conditions as rulers of the land.
    Thus portraits of British male patrons during this period, and how they mimic their master(s), reflect the dramatic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hift from cooperation to rule in Ind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