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nalyzing Collaborative Talk in a Student Managed Task-based Fine Art Activ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2.09
16P 미리보기
Analyzing Collaborative Talk in a Student Managed Task-based Fine Art Activity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18호 / 767 ~ 782페이지
    · 저자명 : 이진아, 김은경

    초록

    Objectives This is a qualitative study of the fine art group activity in the eyes of sociolinguistics. Using conversation analysis,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how the actual collaborative talk dynamics take place in a student managed task-based art activity.
    Methods In order to have a close look at the collaborative talk, we focused directly on face-to-face talk-in-interaction of four students’ during their two hour group activity in a college art class,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The student managed task-based group activity was a part of liberal arts course especially in the 11th week of spring semester, 2022 at a university in Seoul,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via video recording of the two hour group discussion, and the recorded talk was all transcribed for conversation analysis which is the main tool of analyzing students’ talk.
    Results The procedure of students task-based activity included the following four steps: (1) sharing and choosing an agreed task topic to work on, (2) cooperative opinion sharing for making the art work, such as materials and method (3) actual making and art work completion, (4) wrapping up and cleaning. Conversation analysis is a study of turn-taking organization of talk-in-interaction to find how the participants manage and display intersubjectivity in talk. In the students’ talk occurred in the process of the student managed group task, we found several turn-taking types resulting reciprocal support in order to develop the task product: (1) topic change, (2) other-initiated second turn repair, (3) reactive tokens, and (4) other question-answer sequences with mutually supporting verbal and nonverbal moves.
    Conclusions This study is quite valuable in terms that it addressed the naturally occuring process of turn-taking sequences by analyzing students’ talk-in-interaction in depth when the students were engaged in collaborative task-based activity to complete an act work. As noted in the result, most of the various types of turn-taking lead mutual support and agreement of each other’s thought in order to produce the collaborative task completion rather than aggressive debate and disagre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