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후반 임화 시론의 이론적 변이 양상에 대한 고찰 - ‘형상’·‘표현’·‘감정’의 개념적 상관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 of Change of Im-Hwa's Theory of Poetry in the late 1930s :Focusing on Interconnections between Concepts of Shape, Expression, and Emotio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9.10
42P 미리보기
1930년대 후반 임화 시론의 이론적 변이 양상에 대한 고찰 - ‘형상’·‘표현’·‘감정’의 개념적 상관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57권 / 203 ~ 244페이지
    · 저자명 : 강계숙

    초록

    이 글은 임화 시론의 이론적 토대를 고찰함으로써 시론의 고유한 내용과 의미를 밝히고 있다. ‘형상’ ‘표현’ ‘감정’의 개념화 과정을 살피고, 각 개념들의 이론적 상관성을 밝힘으로써 임화의 시론이 변이되는 양상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간의 관계가 후기 시 평문에 어떻게 실제적으로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형상 개념은 1930년대 후반 임화의 문학관이 변화함에 따라 비평의 전면에서 물러나게 된다. 작품의 잉여론으로 대표되는 특유의 비평론을 통해 임화는 기존의 형상 개념에 반하는 논리들을 새롭게 구축한다. 그가 정의한 잉여 영역이란 작가의 의도에 반해 작품 내 생성된 독립된 질서를 가리킨다. 작가의 의도와 작품의 결과 사이의 괴리이기도 한 잉여 영역에 대한 논리적 규명은 문학의 독자성 및 자율성을 문학의 존재방식으로 인정하는 이론적 토대가 된다. 한편 형상 개념이 물러난 자리를 표현 개념이 대신하게 되는바, 표현은 ‘내용이 형태를 획득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이 과정은 작품 내재적인 것이라는 점에서 형상과 달리 주체의 의도에 좌우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표현과정은 잉여 세계의 형성과 관계되는데, 작품 내 독자적 구조이자 질서인 이 세계는 표현과정에서 생성된 ‘신성한 잉여물’로 간주된다. 임화는 이것을 지성이 지배하지 못하는 감성계의 산물로 파악한다. 이는 ‘표현된 것으로서 감성계에 속하는 것이자 주체의 의도와 달리 작품 내 현상하는 무의식의 영역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하는데, 임화가 이에 대한 답을 시 장르에서 찾았다는 것은 후기 시 평문에서 수행된 감정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임화는 신세대 시인들의 사상이나 경향성, 시의 내용이나 형상성보다 시에 표현된 감정의 형태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시를 현대성의 심화된 표상이자 현대의 붕괴를 문학적으로 체현한 시대의 산물로 파악하였다. 문학의 본질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바탕으로 형상에서 표현으로 핵심 개념이 이동하면서 작품의 잉여론 및 텍스트 개념의 선취, 이를 실천적으로 적용한 감정-표현의 분석 등은 임화의 시론이 갖추고 있는 이론적 면모를 구체적으로 드러낸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eals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of Im-Hwa's theory of poetry by inductive consideration. In addition, this study newly reconstructs Im-Hwa's theory of poetry by examining the processes of conceptualization of shape, expression, and emotion and revealing the theoretical correlations between each concept. Through these reviews, we look at 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concepts are actually applied to Im-Hwa's later criticism of poem.
    Through a unique critique represented by the theory of surplus in works, Im-Hwa had constructed logic contrary to the existing concept of shape. The surplus area of the work he defined means an independent order within the work that was created contrary to the author's intention. This theory forms the theoretical basis for recognizing the autonomy of literature in the way of its existence. Meanwhile, in Im-Hwa's later criticism of poem, the concept of expression replaces the concept of shape. He defined expression as the process in which content acquired figure. It is understood that this process is inherent in the work and therefore does not depend on the intention of the author. This process of expression relates to the formation of a surplus world, an independent structure within a work, which is regarded as ‘a sacred surplus’. Im-Hwa identified ‘sacred surplus’ as a product of emotion that intelligence does not control. This leads us to question what areas of unconsciousness that is part of the realm of sensibility are developing in a work,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the author. The fact that he found the answer in poetry genre can be seen from an analysis of emotions made in his later criticism of poem.
    Im-Hwa noted the nature of the emotions expressed in poetry rather than the ideas and tendencies of new generation of poets. By analyzing their emotions, he regarded their poetry as the literary embodiment of the collapse of modern times. Based on the changed perception of the essence of literature, the theory of surplus of work and the preoccupation of concept of text while moving from shape to expression, and the analysis of emotion that applied them in practice reveal the theoretical aspects of his criticism of poem in detai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