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전시가의 여성 화자를 통해 본 ‘임(남성)’의 형상화 연구 (Ⅰ) :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hape of Nim (Male) through the Female Speaker of Go-jeon-si-ga (Ⅰ): Focus on Goryeogayo)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1.07
26P 미리보기
고전시가의 여성 화자를 통해 본 ‘임(남성)’의 형상화 연구 (Ⅰ) :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79호 / 3 ~ 28페이지
    · 저자명 : 이정선

    초록

    본고는 고려가요에 나타난 임(남성)이 어떻게 형상화 되었는가를 살폈다. 임(남성)과 여성의 사랑과 관련한 18개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려사』 「악지」의 경우는 음악의 효용성과 歌詞 不在이유를 밝혀주어 고려가요에 대한 정치적 편집이 있었음을 간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다른 樂書[『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등]의 경우는 작품의 가사만 전하여 작품과 관련한 제반 사항을 시적 화자의 발화를 통해서만 알 수 있다. 작가가 화자의 목소리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드러낸다고 볼 때, 시적 화자는 작품을 특징짓는 가장 중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시적 화자의 발화를 근거로, 임(남성)의 형상화를 신분적 특성과 행위적 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행위적 특성으로는 ‘일방적 단절’, ‘약속 위반’, ‘인권 유린’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이런 임(남성)을 형상화한 고려가요는 임(남성)이 어떠한 행위를 하더라도 여성은 수용해야 한다는 이데올로기를 공고화 하고 있었다. 이는 정치적 사회적으로 남성이 우위에 있던 시대에 ‘여성’에게 ‘희생’, ‘순종’, ‘피동’ 등을 덧대놓음으로써 ‘男/女 → 父/子 → 君/臣’의 수직적 질서를 공고화하는 데 기능을 했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The study looked at how to Nim (male) appeared in Goryeogayo. It was focused on 18 works related to man and woman love. In the case of Goryeosa Akji, we can noticed that Goryeogayo there is political bias through music utility and absent lyrics. On the contrary (such as Akjangga, Akkagweebom, Shiyonghyangakpo etc.) we recognized general details thorough the narrator. When poetic narrator reveal own mind thorough on own voice, it can be the primary factor to specify literary works. Based on the poetic narrator, this study looked at the image of Nim (male) divided into statu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We considered as behavior characteristics ‘one-sided separation’, ‘violation of promise’ and ‘human rights violations’.
    Goryeogayo, in which portrays Nim (male), was solidifying its ideology that no matter what he did, women should accept him. This was seen as a political and social era in which men were superior to women in order to consolidate the vertical order of male/female → parents/children → king/retainer by adding ‘sacrifice’, ‘obeyed’, ‘passivity’ to wo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