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번역가의 과제, 글쓰기의 윤리 -임화와 해외문학파의 논쟁적 글쓰기- (The problem of translator, ethics of writing -Imwha and Haewoimunhakpa's controversial writing)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09.08
38P 미리보기
번역가의 과제, 글쓰기의 윤리 -임화와 해외문학파의 논쟁적 글쓰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반교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반교어문연구 / 27호 / 373 ~ 410페이지
    · 저자명 : 조윤정

    초록

    이 논문은 임화와 해외문학파의 논쟁을 통해, 당대 작가들이 ‘비평’과 ‘사회주의’를 논의하는 방식과 태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의 논쟁적 글쓰기는 문학장의 헤게모니 장악과 연결되어 있다. 임화와 해외문학파는 논쟁의 장을 만들기 위해, 미디어라는 공간과 발화자 사이의 관계들을 만드는 일에 가담하며, 공공의 영역을 물질적이고 상징적으로 만드는 데 기여한다. 1930년대 공론장 안에서 지식으로 사회주의를 습득한 임화와 해외문학파는 서로를 타자화하면서 자신의 비평적 위치를 정립해간다.
    임화와 해외문학파는 공통적으로 조선의 신문학을 이식의 문학으로 파악한다. 그러나 서로 다른 집단 내에서 조선의 신문학 건설을 주장하는 이들의 글쓰기는 충돌한다. 임화는 해외문학파에게 결여된 조선의 문화적 전통, 문학의 정치적 기능에 대한 자각을 불러일으키고, 해외문학파는 임화에게 결여된 언어력과 번역능력을 상기시킨다. 임화가 해외문학파에게 식민지 조선의 작가로서 가져야 하는 윤리적 성찰을 요구한다면, 해외문학파는 임화에게 조선문학의 국제성을 획득하기 위해 작가로서 가져야 할 지적 태도에 대해 고민하게 한다. 임화와 해외문학파는 각기 다른 입장에서 상대측의 작가적 태도를 응시한다. 그러나 이들의 글쓰기는 식민지 조선에서 지식인으로 살아가며 자신이 속한 지적 범주를 어떻게 의미화할 수 있을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질문한다는 점에서 공유하는 바가 많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methods and the attitude with which the writers of those days discussed 'criticism' and 'socialism'. through the argument between Haewoimunhakpa and Imhwa. Their argumentative writings are concerned with grasping the hegemony of the literary world. To make the controversial field, Haewoimunhakpa and Imhwa participated in organizing the media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peakers and contributed to make public province physical and symbolic. In the controversial field of the 1930's, Haewoimunhakpa and Imhwa who learned socialism as a knowledge, had made their place in literary criticism firm with asserting their differences each other.
    Both Haewoimunhakpa and Imhwa considered the new literature of Joseon as transplanted literature. But they insisted the construction of the new literature of Joseon in different group each other and showed the aspect of conflictive writing. Imhwa gave rise to self-consciousness of cultural tradition of Joseon and political function of literature in which Haewoimunhakpa was lacking and Haewoimunhakpa reminded Imhwa of the ability of language and translation of which he was short. Imhwa demanded ethical introspection which was necessary to the writers of colony of Haewoimunhakpa. Haewoimunhakpa made Imhwa to trouble over the intellectual attitude which was demanded for literature of Joseon to gain internationality. Haewoimunhakpa and Imhwa gazed at each other about the attitude as a writer in a different point of view, but they continually searched the way in which they could make their intellectual category meaningful with living as an intellectual of col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교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