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미국 언론의 보도기사 분석 -『뉴욕 타임스』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articles of the American press abou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 The New York Times as the center-)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2.08
39P 미리보기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미국 언론의 보도기사 분석 -『뉴욕 타임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2호 / 207 ~ 245페이지
    · 저자명 : 고정휴

    초록

    이 논문은 3·1운동 이후부터 해방 이전까지 미국 내의 주요 신문들, 특히 『뉴욕 타임스』의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인식과 보도 태도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러한 검토를 통하여 우리는 한국 독립운동기에 임시정부의 국제적 위상이 어떠했는가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과 이해를 가질 수 있다.
    『뉴욕 타임스』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직접 관련된 기사들은 3·1운동기(1919~1921)에 16건, ‘만주사변’(1931)을 전후한 시기에 6건, 태평양전쟁기(1941~1945)에 25건이며, 1922·1924·1940년에 각각 1건이 나온다. 이를 모두 합하면 총 50건이다. 미국 내의 다른 주요 신문들, 예컨대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 『워싱턴 포스트』,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등도 양적인 측면에서 임시정부에 대한 보도 기사는 『뉴욕 타임스』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들 신문의 임시정부에 대한 보도 내용―즉 임시정부의 조직이나 활동에 대한 소개― 또한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3·1운동기에는 중국 상해와 북경, 그리고 미국 내 한인운동의 거점이었던 샌프란시스코와 워싱턴 D.C. 등지에서 입수된 소식들을 특별한 논평 없이 그대로 전달하는데 치중했다. 여기에는 각 신문사들이 ‘뉴스(news)’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는 사정 외에도 한국임시정부 수립이 갖는 정치적 민감성을 고려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일본 정부는 물론이고 미국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은 ‘한국문제’를 일본의 ‘내정문제’로 간주했다.
    이러한 미국 언론의 보도 태도는 1941년 12월 태평양전쟁의 발발과 더불어 달라진다. 대일전쟁 수행에서 한국독립운동세력들이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가, 그리고 일본의 패전 후 한국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가 미국 언론의 관심사로 등장했다. 전쟁 발발 초기, 미국 내 신문들은 한국과 한국민이 아시아에서 확장일로에 있던 일본의 침략전쟁에 맞서 선도적인 역할을 해줄 수 있기를 기대했다.
    그런데 1943년 12월 1일 카이로선언을 계기로 전후 한국에 대한 신탁통치 실시 문제가 전면에 등장하면서 임시정부와 광복군의 존재는 더 이상 미국 언론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이 시기 임시정부의 국제적 위상이 약화된 요인으로는, (1) 국내 민중들과의 접촉 부재, (2) 임정 내부의 ‘분열’과 광복군의 확대사업 부진, (3) ‘망명정부’로서의 법적 근거의 부족 등이 지적될 수 있다. 일본의 패전이 가까워지면서 미국 언론은 임시정부의 ‘대표성’에 대하여 회의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고, 이는 결국 임시정부의 국제적 승인운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recognition and report attitude of the U. S. major newspapers, specially “The New York Times” abou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 such a review, it is possible for us to have the objective viewpoint and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statu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during the period of independence movement.
    The articles directly related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ere published in “The New York Times” as follows; During the period of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1919~1921) 16 articles were published, and before and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6 articles were published, and during the Pacific War (1941~1945) 25 articles were published, and 1 article was published in 1922, 1924 and 1940 each. In total 50 articles were published. In other major newspapers like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The Washington Post”, “The Los Angeles Times” and others, the number of the articles related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not serious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New York Times” on the quantitative side.
    These newspapers’ reports related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were broadly similar - presenting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y laid emphasis on delivering the news acquired from Shanghai and Peking in China, San Francisco, a base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U. S., and Washington D. C. without any special comments. It seems that they had to consider the political sensitivity which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might have except that they had difficulties to ascertain the truth of the news. At that time the official position of the U. S. government as well as the Japanese government regarded the affairs of Korea as the affairs of Japan.
    But the attitude of the American press changed together with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in December, 1941. The matter of concern and interest of the American press was as follows; What kind of contributions ca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make to the war against Japan? And how to deal with Korean affairs after Japan’s defeat? The newspapers in the United States expected that Korea and Korean people took the initiative in confronting with the Japanese expanding aggressive war.
    But as the issue of the trusteeship for Korea was featured in the front with Cairo Declaration on the 1st of December, 1943,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Independence Army couldn’t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American press any more. During this period, the international statu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falling and the cause that gave rise to such situation was as follows; (1) no contact with the people in Korea (2) internal discor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inactivity of the project to expand the Independence Army (3) lack of a legal basis as a government in exile. With the approach of Japan’s defeat, the American press had skeptical perspectives on the representative natur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the end, this could not but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a move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to obtain international approv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