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플란트를 이용한 국소의치 수복 (Implants in conjunction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1.03
8P 미리보기
임플란트를 이용한 국소의치 수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치과의사협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49권 / 2호 / 77 ~ 84페이지
    · 저자명 : 김성균, 유수연, 박인필, 이주희

    초록

    선진국가에서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양질의 치과 진료가 제공됨에 따라 완전무치악 환자는 감소추세에 있으며 노년에 이르러서도 다수치아를 지니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로 인해 부분무치악에 대한 치료 요구는 증가하나 노인 환자들은 젊은 환자들에 비해 광범위한 임플란트 식립을 통한 고정성 보철 수복에 대해서는 덜 수용적이다. 잘 설계된 국소의치도 훌륭한 치료대안이 될 수 있으나 보다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기위해,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식립된 소수의 임플란트와 잔존 자연치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가 사용될 경우, 임플란트를 통해 부가적인 유지 작용을 얻을수 있고 비심미적인 협측 유지 클래스프도 생략 가능하다.
    완전 무치악자에 대한 치료의 일환으로 임플란트 지지 피개 의치의 이점은 많은 문헌에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와 국소의치의 혼용에 관한 연구나 총의치 환자에서 전치부에 임플란트를 식립 후에 후방연장 국소의치를 사용한 경우는 아직까지 연구가 매우 적다.
    이번 발표에서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국소의치를 제작할 경우 고려할 사항, 임플란트의 위치, 길이, 직경 등 전반적인 사항과 임플란트와 자연치아를 혼용하여 후방연장 국소의치를 한 case 등에 대해 살펴보겠다.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국민건강 보건 실태조사에 따르면 75세 이상 인구에서 자연치가 소수 남아있는 경우가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며 2000년과 2006년 실태를 비교해보며 55세 이상 인구 중에 RPD가 필요한 인구는 약 50% 증가하였다. 2005년 Woast 등은 국소의치가 충치를 일으킬 수 있거나 치주질환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그는 Medline search를 통해 10년간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대부분의 논문에서 국소의치의 만족도가 낮았다고 기술했다. 또한 환자들은 치아를 깎는 위험만 감수할 수 있다면 국소의치보다는 고정성 보철물을 더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남아있는 치아가 많을수록 국소의치를 잘 쓰는 경향이 있었다. 2000년 Wagner 등은 국소의치에 대한 성공률은 60% 정도로 성공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여러 기준을 제시하였다 . 저 자 는 conventional clasp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보다는 conical crown retained denture. 혹은 combination of conical crown and clasp retained denture가 환자의 만족도 면에서 나았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그런 관점의 연장선에서 본다면 conventional PRD에 유지나 지지를 위해 무엇인가를 보강한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할 수 있다. 2003년 Konstantinos는 conventional RPD보다 overdenture를 사용한 경우가 bone resorption이 더 적고 환자 만족도도 크다고 밝혔다. 노인 인구 증가로 국소의치의 수요는 증가하지만 앞서 언급한 논문에서 지적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환자들이 국소의치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줄이기 위해 임플란트를 응용한 국소의치의 사용은 시도될 만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benefits of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are readily apparent for the fully edentulous patients and have been well documented, however, there is deficiency of the studies regarding the combination of implants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s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literature concerning implants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s and evaluate the evidence for this clinical approach. Through many clinical case reports and studies we have searched from a broad variety of journals, we present the six considerations needed to contemplate respecting implants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First, the connection between abutment tooth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has to be rigid and the link between implant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should be hinged. Second, a mesial rest acts better in the point of force distribution fo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splinting between implants is also a favorable choice. Third, 'I' bar has an advantage for implants which are used as abutments in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Forth, as we all known functional impression is better way to reproduce movement fo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Fifth, indirect retainer and guiding plane on the proximal surfaces of terminal abutment teeth are important in preventing denture base lifting. Sixth, implants in conjunction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 is superior in the esthetic and phonetic as well as costeffective point of view. We also suggest that which place we should install implants for force distribution and which diameter and length of implants should be used. in this review article, we recommend to locate the implant near of the abutment tooth for esthetics or near of first molar position for good stress distribution. The diameter and length of implant also influence to stress distribution. When we compare to conservative partial denture, patients go for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implants due to convenience, better support and retention according to several studies. But it is true that we need to study more on this subject and collect long term follow up cases before we discuss on it. So it is enough to bring this subject into the surface of prosthetic treatment by this artic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