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도 『화어록』「資任章」고찰 (A Study on the Chapter Ziren in Shi Tao's Huayul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2.02
24P 미리보기
석도 『화어록』「資任章」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54호 / 145 ~ 168페이지
    · 저자명 : 이명원

    초록

    石濤 『畵語錄』「資任章」은 유·불·도 회화사상이 융합하는 형태로 萬法이 資任의 지혜를 얻어, 예술을 창조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資任은 『화어록』에서 ‘一畵’ 다음으로 중요한 개념으로 『화어록』의 마지막장에 놓이게 되어 전편을 융합하는 의미가 있다. 「자임장」에는 산천을 그리면서 필묵의 즐거움을 이룬 선인들의 수신의 덕목이 들어있으며, 산수화의 창작 문제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예술가가 추구해야 할 창조적 삶의 태도와 화가로서의 의무와 책임을 다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석도의 「資任章」을 분석하기 위해 資任의 의미에 관하여 문자학적 의미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자임의 의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석도 『화어록』「자임장」의 미학적 특징을 天任, 取任, 自任으로 나누어 살펴본바, 첫째, ‘天任’은 본체가 주체로 향하는 도의 흐름과 조화라고 할 수 있다. 하늘[天]은 동양철학에서 최고의 본체로 간주한다. 任은 사람의 주체 인식에서 출발하지만, 天任에서의 任은 요구와 위탁의 뜻이 있다, 이를테면 天降大任의 任과 같다. 둘째, ‘取任’은 창작의 선택을 말하는 것으로 실천적 행위이다. 산천몽양의 소임을 받은 작가는 반드시 먼저 작가적 자질의 소임을 다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그 소임을 책임지지 않는 행위가 된다. 따라서 화가는 산수의 소임을 바르게 취하여 천지정신을 표현하는 것을 대임으로 삼아야 한다. 셋째, ‘自任’은 天任을 사물이나 사람(주체)에 실행 적용하면 ‘自任’이다. 석도는 천지 가운데 만물은 모두 천지에 번식하여 살아가며, 모두 하늘의 소임을 받은 것이다. 사람의 생명도 하늘의 소임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만물은 각기 존재의 특징에 따라 스스로 맡은바 소임을 다하는 것이다. 석도의 목적은 본체론의 근원을 찾는 것이 아니라, 하늘의 소임으로부터 自任의 學說을 이끌어내어 그의 창조적 회화 이론의 토대를 확립하는 것이다. 따라서 화가의 自任은 古法의 속기에 얽매이지 말고 주체성을 유지하며, 다양하게 변화하는 현상 속에서 무의식 가운데 이치에 순응하여 변화하며, 인위적으로 잘 그리려고 하지 않는데도 잘 그릴 수 있는 경지에 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天任, 取任, 自任의 분석을 통해 산수의 다양한 현상을 바르게 인식하여 화가의 맡은바 소임을 다할 것을 강조한다. 특히 一畫論에 근거하여 蒙養之功과 生活之操로써 “하나로 만 가지를 다스리고, 만 가지로 하나를 다스린다[以一治萬, 以萬治一]”는 경지에 도달하게 되며 아름다운 산수화를 창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Chapter Ziren(資任) in Shi Tao(石濤)’s Huayulu(畵語錄) is a fusion of painting thoughts of Confucian, Buddhism, and Taoism, and Shi Tao intended to emphasize that all laws create art by acquiring the wisdom of Ziren(資任, talent and duty). Ziren is the second most significant concept after ‘one-stroke(一畵)’ in Huayulu. It is placed in the last chapter of Huayulu, so it summarizes the previous chapters. The chapter Ziren contains the virtue of cultivation of the ancestors who achieved the joy of brush and ink while drawing mountains and streams and comprehensively summarizes the creative issues of landscape paintings. In addition, Shi Tao emphasizes having the creative living attitude that an artist should pursue and fulfilling the duties and responsibilities of a painter.
    To analyze the chapter Ziren of Shi Tao’s Huayulu, I derived the literal meaning of Ziren, and through this, I grasped the significance of Ziren. I also examined its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m into Tianren(天任, heaven-gifted duty), Quren(取任, fulfilling given duty), and Ziren(自任, fulfilling self-duty). First, Tianren(天任) is the flow and harmony of the Way that the main body heads for the subjective body. Heaven(天) is regarded as the supreme main body in Eastern philosophy. Ren(任) originates from the person’s perception of the subject, but Ren(任) of Tianren(天任) has the meaning of request and entrustment. It could be the same as an important duty gifted by heaven[天降大任]. Second, Quren(取任) refers to the choice of creation and is a practical act. An artist in charge of cultivating himself through drawing mountains and streams must fulfill his duties as a painter. Otherwise, it will be an act that does not undertake the responsibilities. Therefore, a painter should properly take the task of drawing mountains and streams and must express the spirit of heaven and earth. Third, Ziren(自任) i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ianren to things or people(subjects). Shi Tao believed that all things reproduce and live in heaven and earth and that they were all given the task of heaven. He also thought that it was also the task of heaven for people to live. Therefore, he said that all things are to fulfill their du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existence. The purpose of Shi Tao’s writing of Huayulu was not to find the origin of the theory of the main body. He sought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his creative painting theory by deriving the doctrine of self-duty from the task of heaven. Therefore, he thought that the artist’s self-duty is to maintain subjectivity without being bound by the worldliness of the old law. In addition, he insisted that a painter, in various changing phenomena, should change while conforming to the principle in his unconscious mind and emphasized that he should reach a state of being able to draw well even without artificially trying to draw well.
    Through the analysis of Tianren(天任), Quren(取任), and Ziren(自任), I could see that Shi Ta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ulfilling his duties as an artist by properly recognizing the various phenomena of mountains and streams. In particular, based on the theory of one-stroke, a painter could reach the state that “one governs all things, and all things govern one”[以一治萬, 以萬治一] and would be able to create beautiful landscape pain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