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학습병행에서의 지식전이 메커니즘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Knowledge Transfer Mechanism in Dual Apprenticeship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2.06
17P 미리보기
일학습병행에서의 지식전이 메커니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독경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상논총 / 40권 / 3호 / 63 ~ 79페이지
    · 저자명 : 안세화

    초록

    양질의 직업교육훈련은 주어진 학습환경에서 훈련생에게 얼마나 효과적으로 지식전이가 이루어지느냐에 달려있다. 일학습병행과 같이 기업 내 현장훈련과 교육기관에서의 현장 외 교육이 연계된 이원화 시스템에서의 지식전이는 더욱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전이라는 렌즈를 통해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들의 지식전이 메커니즘을 포착함으로써 일학습병행의 질적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우선 직업교육훈련 맥락에서 학습과 지식전이에 대해 논의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이원화 직업교육에서 지식전이의 속성을 분석하기 위한 세 가지의 핵심주제를 파악하였다. 즉 맥락화와 재맥락화, 학습자 성찰, 그리고 지식통합이 그것이다. 이를 토대로 조직 수준, 맥락 수준, 그리고 개인 수준의 세 가지 범주에서 지식전이의 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여 학습병행에서의 지식전이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틀과 지식전이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지식전이 모델에서는 기업 내 현장훈련의 환경요소로 구성되는 직무적 맥락, 현장 외 이론교육의 환경요소로 구성되는 교육적 맥락, 그리고 학습근로자의 지식통합 등 세 가지의 주된 요인이 학습근로자의 지식전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지식전이의 메커니즘이 역동적이고 효과적으로 작동되기 위해서는 학습근로자의 자기성찰과 지식통합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즉 지식전이는 학습근로자가 학교와 직장의 서로 다른 학습환경의 경계를 넘나들며 맥락화와 성찰을 통해 지식과 경험을 통합하는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본 연구는 일학습병행의 맥락에서 지식전이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려는 탐색적 분석임에도 불구하고 이원화된 직업교육 시스템에서 질적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끝으로 일학습병행의 주요 이해관계자인 기업과 교육기관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Quality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depends on how effectively knowledge transfer to apprentices is performed in a given learning environment. In a dual apprenticeship system where on-the-job training in companies and off-the-job training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linked, knowledge transfer goes through a more complex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alternative that can increase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dual apprenticeships by exploring the mechanism of knowledge transfer through the lens of knowledge transfer.
    Firstly, by reviewing previous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discussing learning and knowledge transfer in the context of vocational training, three key topics for analyzing the attributes of knowledge transfer in dual apprenticeships are identified: i) contextualization and re-contextualization, ii) learner’s reflection, and iii) knowledge integration. Based on this, the determinants of knowledge transfer are derived from the three categories of organizational level, context level, and individual level. By synthesizing the above discussion, a conceptual framework and a knowledge transfer model are presented so a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transfer mechanism in dual apprenticeships. This knowledge transfer model shows that three main factors affect the knowledge transfer of apprentices: the vocational context consisting of environmental elements in companies, educational context consisting of environmental element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knowledge integration of apprentices. Here,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and knowledge integration capability is emphasized so that the knowledge transfer mechanism can operate dynamically and effectively. In other words, knowledge transfer is completed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knowledge and experience through contextualization and reflection by apprentices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at school and work.
    This study provides a new perspectiv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ual apprenticeships, even though it is an exploratory analysi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knowledge transfer in the context of a dual system. At the end of the paper, useful implications are presented to major stakeholders such as compan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상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