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조대 후반 대일위기의식 고조와 대응 전략 모색 (Joseon dynasty’s crisis awareness about and counterstrategy to Japan during the late reign of King Injo)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2.08
34P 미리보기
인조대 후반 대일위기의식 고조와 대응 전략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58권 / 183 ~ 216페이지
    · 저자명 : 김태훈

    초록

    이 논문은 병자호란을 기점으로 일변한 역학구도 하에서 인조 정권이 대일정책과 관련하여 어떠한 명분을 창출하고 전략적 돌파구를 모색하였는지를 검토한 연구이다.
    본문에서는 먼저, 병자호란을 전후하여 대일위기의식이 고조되는 과정을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동아시아 역학구도 상정과 대일위기의식에 대한 대응책 모색 과정에서 備倭論과 朝·淸和親論의 외교 논리를 창출하여 대응하는 모습을 재구성하였다.
    비왜론은 대청 왜정 보고를 통해 전개되었는데, 조선 정부는 ‘倭情 可慮· 可疑’의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조·청 간 전략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청·일 간 통교를 주선하라는 청의 지속적인 요구에, 조선 정부가 오히려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던 것이다. 또 청·일 간 연계를 차단하면서 대일정책상 독자성을 유지해나갔다.
    조·청화친론은 병자호란에서 패전하여 청에 稱臣하게 된 사실을 일본 측에 은폐하는 전략이었다. 비왜론과 달리 그 한계가 매우 분명해 보이는 조·청화친론은 여진족에 臣服한 사실을 公認하지 않음으로써 대일외교에서 조선의 국가적 위상을 유지하고 패전국으로서의 약세를 드러내지 않으려는 목적에서 전개되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a study examining what kind of justification the Injo regime created and strategic breakthroughs were sought in relation to the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dynamic structure of the Manchu War of 1636 as a turning point.
    First of all,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rising awareness of crisis against Japan before and after the Manchu War of 1636.
    Next, in the process of assuming the power relations between the East Asian countries and seeking strategies for the crisis consciousness with Japan, we looked at how to respond by creating diplomatic tactics such as diplomatic justification that prepare for the provocation of Japan(備倭論) and hiding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Qing(朝·淸和親論).
    ‘Diplomatic justification that prepare for the provocation of Japan’ was embodied in reporting Japan's movements to the Qing Dynasty. The Joseon government was able to form a strategic consensus between Joseon and Qing by delivering the message of threatening Japan's move. The Qing dynasty continued to demand from Joseon to arrange communication with Japan. But the Joseon government achieved certain results by taking a preemptive response. It also maintained the independence of its policy toward Japan while cutting off the link between Qing and Japan.
    ‘Hiding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Qing’ was a strategy to conceal from the Japanese side the fact that it had surrendered to the Qing Dynasty after being defeated in the Manchu War of 1636. This strategy seems to have very obvious limitations.
    It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Joseon's national status in diplomacy with Japan and not revealing its weakness as a defeated country by not revealing the fact that it had suffered from the Manchuri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