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럽연합의 가족정책과 유럽연합 회원국의 대응: 일·가정 양립에서 일·생활 균형으로의 전환 (The EU's Family Policy and the EU Member States' Response: A transition from the work-family balance to the work-life balanc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4.11
30P 미리보기
유럽연합의 가족정책과 유럽연합 회원국의 대응: 일·가정 양립에서 일·생활 균형으로의 전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 수록지 정보 : EU연구 / 73호 / 83 ~ 112페이지
    · 저자명 : 최정화

    초록

    세계적인 대전환 시기에 대한 해결책으로 각국은 가족정책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유럽 역시 일·가정 양립의 가족정책에서 일·생활 균형의 가족정책으로 전환함으로써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유럽연합의 가족정책 기조와 유럽연합 회원국의 대응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가정 양립’의 가족정책에서는 돌봄의 주체를 여성으로, 남성을 보 조자로 인식하면서 가정이라는 사적 영역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관여를 내포한다. 그러나 이제 새로운 ‘일·생활 균형’의 가족정책에서 ‘부(父)’와 ‘모(母)’의 개념은 여성과 남성을 넘어 젠더평등의 개념을 포괄하고 있으 며, 기존의 남성 우위였던 돌봄과 노동의 영역에 젠더평등에 기반한 웰빙 을 실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유럽연합은 1999년 암스테르담 조약의 ‘일·가정 양립’이라 는 의제에 보육서비스 이용율을 높이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2019년 ‘부모 와 보호자를 위한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지침’을 통해서는 양성평등과 아 버지 또는 두 번째 부모를 위한 육아휴직권을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유럽연합의 가족정책 기조에 유럽연합 회원국은 어떻게 대 응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국의 영유아 어린이의 보육서비스 이용 율 및 순수 보육료 부담비율, 그리고 아버지 휴가 사용 일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럽연합 회원국의 가족정책은 유럽연합의 방향에 맞게 일정 하고 동일하게 정책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별로 확연한 차이를 보였 다. 한 국가 내에서도 부정기적인 증가세와 감소세를 보이면서 어느 시점 에서 유럽연합의 가족정책이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 어렵다. 그러나 회원국 역시 장기적인 방향성에 있어서는 유럽연합 기조처럼 일·가정 양립에서 일·생활 균형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As a response to the global transition period, each country is developing family policies. Europe is also responding proactively to changes by shifting from a family policy of work-family balance to a family policy of work-life bala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EU's family policy stance and responses of EU member states.
    The family policy of ‘work-family balance’ implies the state's active involvement in the private realm of the home while recognizing woman as the subject of care and a man as an assistant. However, in the new ‘work-life balance’ family policy, the concepts of ‘father’ and ‘mother’ encompass the concept of gender equality beyond women and men and realize well-being based on gender equality in the areas of care and labor, in which men were treated as superior. Specifically, the European Union included the increase in the rate of child care service use in the agenda of ‘work-family balance’ in the Amsterdam Treaty of 1999. In 2019, gender equality and the right to parental leave for fathers or second parents were introduced through ‘Guidelines for Work-Life Balance for Parents and Carers’.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rate of child care service use, the ratio of pure child care fees, and the number of days spent on father’s leave to find out how EU member states are responding to EU's family policy st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results show that family policies of EU member state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country to country rather than adopting them consistently and equally in accordance with the EU's direction. It is difficult to say that EU's family policy has had an impact at a certain point, as it has shown irregular increases and decreases even within a country.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EU member states are moving from work-family balance to work-life balance, in accordance with the long-term direction of the E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EU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