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섬유제품 인브랜드의 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In-Brand Image in Textile Product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5.03
13P 미리보기
섬유제품 인브랜드의 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1권 / 1호 / 403 ~ 415페이지
    · 저자명 : 이승영

    초록

    본 연구는 의류 제품 구매 시 섬유 인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인식, 소비자가 반응하는 섬유 인브랜드 이미지분석을 통하여 섬유 인브랜드 이미지 제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이론적 고찰을 위해 국내외 논문, 학술지, 전문서적, 간행물 등을 활용하였으며 객관적 자료를 위한 통계는 관련된 분야의 자료를 인용하였다. 실증 조사를 위하여 인브랜드 인식과 영향, 구매기준의소비자 반응을 설문조사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빈도분석과 다차원 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류제품 구매 시 남, 녀 모두 섬유 인브랜드를 인식하고 구매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스포츠 웨어, 정장의 순으로 제품 구매 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제품 구매 시 구매기준은 남, 녀 모두 시각성(색상, 스타일, 독특함, 다른옷과의 조화)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감정(소비자의 경험, 느낌, 품위, 유명상표, 타인의 반응) 섬유제품 인브랜드의 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405 이 높게 조사되어 기능성(관리, 소재, 기능)은 의류제품 구매에 영향이 크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의류제품은 소비자에게 기능적, 실용적인 측면 이외에다양한 표현적, 상징적, 감정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측면이 중요시 되는 제품으로 섬유 인브랜드를 의류제품 구매 시 인식하지만, 제품 유형과 요인에 따라의류제품은 구매에 있어서 소비자의 관여정도가 비교적 높은 제품임을 검증하였다.
    섬유 인브랜드 이미지 분석결과 인지도 순위가 높은 섬유 인브랜드 이미지는 기능성, 상징성, 신뢰성, 전문성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심미성과 차별성이 낮은 비율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도 순위 중하위는 모두 심미성이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7개 섬유 인브랜드 모두 차별성에서 모두 낮은 측정값을 나타내어 차별화된 아이덴티티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지도에 따라 요인별 인브랜드 평가의 차이가 뚜렷하였으며 섬유 인브랜드의 정보나 지식이 적을수록 인지도에 따라 브랜드를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감성적 고관여 의류제품에 있어서 섬유 인브랜드의 이미지가 의류제품을 인식하고 평가하고 선택하는데 중요한 고려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섬유인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force the textilein-brand image and to suggest a plan for activationthrough analyzing the consumer recognition on textilein-brand and the textile in-brand to which consumersrespond when purchasing a clothing product. Theresearch method and scope were utilized theses,academic journals, specialized books, and publicationsat home and abroad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s a result of research, both men and women weresurveyed to purchase with recognizing textile in-brandgiven purchasing the clothing product. They wereindicated to recognize that there is the influence in caseof purchasing product in order of sports wear and suit.
    As for the purchasing criteria given buying the clothingproduct, both men and women were shown to be thehighest in visuality(color, style, particularity, harmonywith other clothing). The next was surveyed to be highin emotion(consumer’s experience, feeling, dignity,name brand). Functionality(management, material,function) was surveyed not to have great influence uponpurchasing. This was verified that the clothing productis the one that is emphasized the aspect of satisfyingdiversely expressive, symbolic, and emotional needs inaddition to the functional and practical aspect as forconsumers, thereby being recognized the textilein-brand given buying the clothing product, but is theproduct with consumer’s relatively high involvementlevel in buying the clothing product according toproduct typ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ile in-brand image,the textile in-brand image with high awareness levelwas indicated to be generally high in functionality,symbolism,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However, theaesthetics and differentiation were surveyed to have lowratio. Both middle and low groups in awareness levelwere surveyed to have the highest ratio in aesthetics.
    Yet, all of the 7 textile in-brands were shown the lowmeasurement value in differentiation, thereby havingbeen surveyed to be needed the differentiated identity.
    The difference in the in-brand evaluation by factor wasobvious according to awareness level. It was surveyedthat the less information or knowledge on textilein-brand leads to tending to evaluate brand accordingto awareness. This outcome suggested that the textilein-brand image can become an important considerateelement in recognizing, evaluating and selecting theclothing product in terms of consumers’ clothing productwith high involvement, and proposed an effective planfor implementing textile in-brand im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