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장애인의 자살시도 후 극복과정 (The process of schizophrenics' overcoming after attempted suicid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09.12
39P 미리보기
정신장애인의 자살시도 후 극복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33호 / 218 ~ 256페이지
    · 저자명 : 윤명숙, 채완순

    초록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자살시도 후 극복과정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정신장애인의 자살시도 후 극복 과정은 어떠한가?’로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전북지역 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 이용자 9명이었다. 연구결과, 총 15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를 43개의 하위범주와 16개의 상위범주로 유목화 할 수 있었다. 정신장애인의 자살시도 후 극복과정 패러다임모형에서 인과적 조건은 ‘답이 없음’, ‘자살에 기대를 걸음’, 맥락적 조건은 ‘홀로됨’, ‘무시당함‘, ‘자살을 모방함’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자살에 대한 환상을 깨고 나옴’이었으며 이러한 중심현상을 촉진하는 중재적 조건은 ‘자살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함’, ‘목표가 생김’, ‘지역 네트워크 활용’, ‘혼자가 아님을 깨달음’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전략은 ‘자살유혹 무시하기’, ‘활발히 활동하기’, ‘살아야 할 이유 찾기’, ‘낙관적으로 생각하기’로 확인되었으며 그 결과 ‘희망을 가짐’, ‘자신감이 생김’, ‘오래 살고 싶음’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의 자살시도 후 극복과정의 핵심범주는 ‘자살에 대한 환상을 깨고 나와 삶에 기대하기’였으며, 과정분석은 ‘자살에 대한 기대 단계’, ‘자살에 대한 환상이 깨어짐 단계’, ‘자살시도 극복 단계’, ‘삶에 대한 기대 단계’로 확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정신장애인의 자살시도 후 극복 과정 유형은 ‘역할찾기형’, ‘미래기대형’, ‘관계맺기형’, ‘자신수용형’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정신장애인의 자살시도 후 극복과정을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그 과정과 유형 등을 밝힘으로써 정신장애인의 자살 시도 후 극복에 관한 이론 구축 및 정책적, 임상적 개입에 그 함의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ntity theory of schizophrenics' overcoming their problems after they tried to commit suicide. This study focused on "What is the process of schizophrenics' overcoming their problems after attempting suicide?’ based on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 outpatients in the half-way house and mental health center.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 total of 158 concepts were drawn, which were classified into 44 subcategories and 15 superordinate categorie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ategories by paradigm showed that in the process of schizophrenics' overcoming their problems after attempting suicide, the causal condition was "no solution", "dependent on suicide", and the contextual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is phenomenon was ‘being alone', ‘being neglected‘, and ‘imitating suicide’. The core phenomenon was ‘coming out and breaking the illusion of suicide' The intervening condition to boost this core phenomenon was ‘getting rid of the curiosity of suicide’, ‘having a goal’, ‘utilizing the local network’, and ‘realizing they are not alone'.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identified as ‘ignoring the temptation of suicide’, ‘being active’, ‘finding a reason to live’, ‘thinking positively’, ending up ‘having hope’, ‘being confident’, ‘being eager to live a long life’. The core concept in the process of schizophrenic people overcoming their problems after attempting suicide was revealed as 'breaking the illusion of suicide and depending on life’, The process of schizophrenic people overcoming their problems was ‘the stage of depending on suicide’, ‘the stage of breaking the illusion of suicide’, ‘the stage of overcoming suicide’, and ‘the stage of having expectation for life’.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role-finding type’, ‘future-expecting type’, ‘having-relationship type’, and ‘self-accepting type’.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significance in establishing the first theory in Korea on schizophrenics' overcoming their problems after attempting suicide by defining the process of them overcoming their problems after attempting suicide and the types based on grounded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신건강과 사회복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