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재해, 재난 연구와 ‘재난인문학’ (Disaster Research in China and ‘Disaster Humanit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0.02
34P 미리보기
중국의 재해, 재난 연구와 ‘재난인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9호 / 89 ~ 122페이지
    · 저자명 : 이석현

    초록

    중국은 예로부터 다양한 재해가 많이 발생한 나리이며, 선진시기부터 이미 풍부한 재해 관련 기록이 존재한다. 이런 다양한 기록은 다른 나라에서 찾아보기 힘들며, 한서 오행지 등의 災異 기록 등과 함께 황정서, 구황서 등도 지속적으로 편찬되었다. 이런 풍부한 재해 관련 기록과 함께 근대 학문이 도입된 이래, 본격적인 재해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다양하고 풍부한 성과가 축적되고 있다.
    본격적인 중국의 재해 연구는 192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당시의 재해 연구는 자연과학적 경향성을 지닌 역사지리학 분야에서 활발하였다. 그들은 고대 기후의 변화를 추적했고, 지진 발생의 규율성, 재해의 시공간 특성 등을 연구하였다. 특히 고대 역사서 등에 보이는 재해 관련 자료를 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는데, 제작하는 주체에 따라 기준이 상이하다. 최근에는 정보 기술의 발달로 재해 관련 기록을 축적하고 재해 역사지도 편찬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다.
    역사학계에서의 재해사 관련 연구는 크게 재해사와, 구황사 두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재해사의 연구도 마찬가지로 1920년대 대규모 재해의 영향으로 시작되었다. 특히 등운특의 중국구황사는 재해사, 구황사 분야에 큰 영향을 끼친 연구 저작이다. 다만 역사학 분야에서 재해사의 비중은 그다지 크지 않았으며, 자연과학 분야의 연구에서 자료를 정리하는 보조적 기능에 종사하기도 하였다.
    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재해사 관심이 고조되었고, 災荒史 내지는 災荒學 이라는 새로운 분과학문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현재 구황사 분야는 각 시대별 구황책, 구황 사상 등이 주로 연구되고 있으며, 통사적 연구에서 단대사 연구로, 거시적 연구에서 미시적 연구로, 재해 사건에서 재해와 사회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로 전환되고 있다. 이렇듯 중국의 재해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역사지리학을 비롯한 자연과학적 경향의 연구 비중이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이런 상황의 반성에서 사회사적인 시각에서 기층사회와 연관된 재해사 연구가 새롭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재해, 재난의 연구에서 역사학을 비롯한 인문학의 비중은 높지 않은 편이다.
    최근에 四川의 汶川대지진을 비롯한 재난을 겪은 후 문학 등 새로운 인문학적 시각에서의 재해 재난을 겪은 사람들을 주목하는 작품들이 나오고 있다. 또한 기존의 역사서, 황정서 뿐만 아니라, 재해를 반영한 문학작품, 流民圖 등과 같은 대중의 재난 서사를 담은 작품 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재난서사의 기록을 활용하면서 재난을 겪은 대중들의 기억을 고찰하면서, 문학을 비롯한 재난의 기록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당시 사회의 일상성을 살피고, 그것을 회복하려는 주체와 사람들의 노력과 희망 등을 살펴보는 관점이 재난인문학의 주요한 방법론 중의 하나가 아닐까 한다.

    영어초록

    China is a country with many disasters in its history, and it has had a rich record of disasters since the old period.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diverse records in the world. The <漢書 五行志> and other disaster records books continued to be compil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se rich disaster-related records and modern disciplines, comprehensive disaster research has been formed and rich and fruitful results have been accumulated.
    Disaster research in the 1920’s was triggered by large-scale disaster. In particular, the early Chinese research was active in the field of historical geography with natural science tendencies. They tracked changes in ancient climate, studied the regularity of earthquakes,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disasters, and so on. In particular, the ancient history books and other display of disaster-related information has been integrated. But according to the production of the main body, the standard was also different.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accumulation of disaster-related records, made the compilation of disaster history maps.
    The research of disasters in the field of history carried out in two fields: the history of disasters and the history of salvation. The history of disasters also began in the 1920s as a result of large-scale disasters. It is worth mentioning that Deng Yunte's <中国救荒史: History of China's Salv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istory of disasters rescue. In history, the proportion of disaster history is not large, and he has been engaged in the research and compilation of data in the natural sciences. After the 1980s, people's concern about the history of disasters rose in full, and appeared in the rescue policy and even in the appearance of a new sub-scientific text of <災荒史>. At present, the field of the history of disaster relief mainly studies the rescue policy of various periods, the thought of warehouse system of the disaster. And the main research stream is changing from the general history study to the single history study, from the macro-research to the micro-study, from the disaster even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and society.
    Although China's disaster history research has been fruitful, but the historical geography and other natural science tendencies of the proportion of research is still very high. In the reflection of this situation, new progress is being made in the study of social history and the study of the disaster history of grass-roots society. Nevertheless, in the study of overall disasters and disasters, the proportion of humanities such as history is not high. It is only recently that many works have appeared, including the Wenchuan earthquake in Sichuan Province and other disasters, and literature and other fields focus on people who have experienced disasters in the new human perspective.
    In addition, researchers need to focus on the literary works reflecting disasters, such as the mass disaster narratives, such as the <流民图>, all of which deserve our attention. Using these diverse disaster narrative records, contain the memory of th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disaster. Actively exploring the records of disasters, including literature, observing the daily nature of society at that time, observing the views of the subjects who want to recover and the efforts and hopes of the people is the main method of disaster human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