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일본인과 이병도의 임둔군 인식 (Modern Japanese and Lee-byoungdo’s perceptionof Lintunju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4.11
32P 미리보기
근대 일본인과 이병도의 임둔군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86호 / 251 ~ 282페이지
    · 저자명 : 윤병모

    초록

    근대에 들어와 일본인에 의한 임둔군 연구는 시라토리 구라키치와 이나바 이와키치, 이마니시 류, 이케우치 히로시 등의 연구가 있어 왔다. 이들은 임둔군에 대해 함경남도 남쪽부터 강원도 지방에 걸쳐 있다는 견해를 주장하였다. 하지만 임둔군의 주체를 예족로 보아 그 예족을 동예로 간주하여 강원도로 설정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임둔군이 예족의 동예와 어떤 정치적, 종족적 관계가 있었는지는 불분명하다. 또 『무릉서』를 기준으로 할 때에 임둔군 15현을 강원도에 설정하기에는 너무 좁고 인구규모 면에서 어울리지 않는다. 이병도는 임둔군이 폐지되며 방기된 『무릉서』의 임둔군 8현에 대해 영동7현의 이북인 옥저 지금 함흥 이북의 함경남도 지방에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현대의 인문지리적 상황도 이 지역에는 도시가 많이 형성된 지역이 아니다. 이병도의 논리대로 하면 진번군이 황해도에 있었다고 하여 오히려 진번군이 임둔군보다도 더 요동에 가까이 있게 된다. 결국 이동된 임둔군은 최초의 임둔군 2현과 동예의 토착현 5현이 합쳐져서 영동7현을 구성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임둔군은 한의 좌장군 순체가 위만조선을 정벌하며 임둔을 열자 연과 제가 예맥에서 곤란을 겪었다고 기재된다. 이 같은 『염철론』 기사를 인정하면 예맥과 임둔과의 관계를 잘 알게 한다. 위만조선이 멸망하면서 요동의 예맥 곧 임둔은 임둔군이라는 한사군 체제를 거처 ‘반도’의 동북쪽으로 이전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modern times, Japanese studies on Lintunjun have been conducted by Shiratori, Inaba, Imanishi, Ikeuchi, etc. They asserted that Lintunjun extends from the south of Hamkeongnamdo to the Gangweondo reg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ubject of Lintunjun is the Hui people, and the Hui people are regarded as Dongye, and thus Gangweondo is established. It is unclear what kind of relationship Lintunjun had with Dongye of the Hui people. Also, when using 『Maolingshu』 as a standard, it is too narrow to establish Lintunjun’s 15Xian in Gangweondo, and it does not fit in terms of population size. Lee-byoungdo asserts that Lintunjun 8Xian of 『Maolingshu』, which was abandoned when Lintunjun was abolished, was in Oeokjeo, north of Yeongdong7Xian, or Hamkeongnamdo, north of Hamheung. However, even in modern human geography, this region is not an area where many cities have been formed. According to Lee-byoungdo's logic, since Zhenpanjun was in Hwanghaedo, Zhenpanjun would have been closer than Lintunjun. In the end, the relocated Lintunjun was the original Lintunjun 2Xian and the native Xian 5Xian of Dongye, which combined to form Yeongdong7Xian. Lintunjun is recorded as saying that when the Han general conquered Weimanchosun and opened Lintun, Yan and Qi had difficulties in Yemaek. If we accept this article in 『Yantielun』, we can clearly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Yemaek and Lintunjun. In other words, when Weimanchosun was destroyed, Yemaek of Liaodong moved to Dongye through the Hansijun system called Lintunj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