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 교육을 위한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인의 억양 비교 분석: 종결 기능 연결어미 ‘-고’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Intonation Differences between Chin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focusing on the Non-final Ending '-go' functioning as a Final endi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7.11
28P 미리보기
한국어 교육을 위한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인의 억양 비교 분석: 종결 기능 연결어미 ‘-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남어문논집 / 1권 / 44호 / 337 ~ 36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은

    초록

    이 연구는 출현 빈도수가 가장 높은 종결 기능 연결어미 ‘-고’의 억양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인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고 중국어권 한국어 억양 교육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연결어미 ‘-고’가 나타나는 진술, 강조 및 단언, 청자의 간접 및 직접적 반응, 화자의 의도 암시, 대등적 나열의 대화를 구성하였다. 모든 대화는 한국인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각 10명의 발화를 녹음하였다. 음폭이 다른 두 언어권 화자를 동일한 기준에서 비교하기 위해 선행 음절의 f₀ 억양 목표점과 경계 음절의 제1 억양 목표점 사이 그리고 경계 음절 내 f₀ 변화율을 측정하였고 담화별 억양패턴의 빈도수를 살펴보았다. 산출 실험 결과, 중국인 학습자의 문미 억양이 한국인보다 하강조와 상승조에서 음높이 변화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경계 음절에서 중국인의 음높이 변화는 한국인에 비해 단조로운 편으로 나타났다. 대화별 억양패턴의 빈도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인은 진술 기능일 때 하강조로 발화하였으며, 연결 기능일 때 상승조로 발화하여 한국인의 발화에서 문법 표지로서 억양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상승조가 일부 중국인 학습자에게서 발견되었고 이는 중국인 학습자가 종결 기능 연결어미를 연결 기능 연결어미와 유사하게 발화한 것으로 간주되어 억양이 문법 표지로서 기능하지 않았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청자의 직접적인 반응을 확인하고자 하는 상황의 경우, 한국인의 발화에서 상승조만 나타났으나 중국인 학습자에게서는 L%, ML%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중국어의 확인의문문에서 나타나는 전이 양상으로 간주되었다. 셋째, 화자의 숨은 의도를 나타내는 맥락에서 중국인 학습자는 한국인과 달리 경계 음절의 장음화로 화자의 의도를 표현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보다 자연스럽고 정확한 한국어 학습을 위해 종결 기능 연결어미에 대한 억양 교육이 요구되며, 본고는 음성 분석을 통해 억양 교육을 위한 기초를 마련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prepare the basis of teaching Korean intonation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by analyzing intonation differences of the non-final ending '-go' in Korean, which most frequently functions as a final ending, produced by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s. This study set up the contexts including a statement, an emphasis or assertion, an indirect and direct response of a listener, and an implication of a speaker's intention, and coordination,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tones assigned to the non-final ending '-go'. All the contexts were recorded by 10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10 native Korean speakers. In order to compare the pitch ranges of the speakers from the two different languages on the same basis, this study measured the f₀ change rate between the pitch target of the preceding syllable and the first pitch target of the boundary syllable, and within the boundary syllable. As a result,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 showed a tendency to lower the pitch in the rising tone and raise the pitch in the falling tone than in the Koreans, and the f₀ change in the Chinese was more monotonous than that of the Koreans. This study analyzed the frequency of intonational patterns each context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oreans produced the falling tone when the meaning of the sentence was a statement, but the rising tone in some Chinese learners was found, which indicates that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 did not use intonation as a grammatical marker to distinguish the functions of non-final ending '-go'. Second, L% and ML% in the Chinese learners were found in the context of confirming a response from a listener, and it was considered as an aspect of L1 transfer because the falling tone appears in the Chinese confirmation question. Third, the Chinese learners did not express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to reject one's request by the length of the boundary syllable. For the accuracy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tonation for the non-final endings '-go' functioning as a final ending is required, and this paper provides the basis for teaching Korean intonation through speech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남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