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달장애인의 개인예산제 참여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경계성 발달장애인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Individual Budget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Disable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1.03
34P 미리보기
발달장애인의 개인예산제 참여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경계성 발달장애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 51권 / 51호 / 139 ~ 172페이지
    · 저자명 : 김동홍, 정종화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 당사자주의에 기초한 개인예산제의 역사적 맥락에 근거하여, 아직 국내에는 제도화되지 않은 개인예산제 시범사업에 참여한 경계성 발달장애인 및 그 액티브 서포터를 대상으로 발달장애인복지서비스 환경, 개인예산제 참여를 통한 자기주도 활동, 개인예산제 참여가 가져온 일상의 변화, 서포터의 역할 등을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통해 심층적으로 탐색한 연구이다. 사례연구 방법으로 Creswell(2007)의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으로부터 6개의 공통주제를 도출하였고, 이는 “내가 없는 내 방”, “나의 한계령 넘기”, “서포터와의 동행”, “한 걸음 더 가기”, “시행착오의 수레바퀴”, “승리자 거북이”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경계성 발달장애인을 위한 복지서비스의 운영에 있어 전통적인 제공자 중심의 서비스가 아닌 당사자주도의 개별화 서비스를 지향하는 개인예산제 도입의 가능성을 실천적으로 확인하였고, 향후 제도의 도입 및 안착을 위해 자기주도 생활을 위한 맞춤형(당사자 중심) 훈련과 이를 조력하기 위한 지원체계의 필요를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based o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individual budget system based on the disability partyism. It targets people with borderlin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active support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individual budget pilot project that has not been institutionalized in Korea. This study explores the welfare service environment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concerned, self-directed activitie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individual budget system, changes in daily life brought about by participation in the individual budget system, and the role of supporters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deduced six common themes from the partcipants' experiences by applying Creswell'(2007) method of within-case and in-between cases analyses : “My Room Without Me,” “Overcoming My Limits”, “One more step”, “A Walk With Support”, “Rail of Trial and Error” and “Winning Turtle”. This study practicall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a individual budget system for the borderlin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imed at individualized services, not traditional provider-centered services, and suggested the need for customized(people centered) training and cooperation for self-directed liv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