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인과 비장애인 배드민턴 경기 분석 요인 비교 및 탐색: 스코핑 리뷰 (Comparing and Exploring the Analysis Factors of Disabled and Non-disabled Badminton Competitions: Scoping Review)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4.03
10P 미리보기
장애인과 비장애인 배드민턴 경기 분석 요인 비교 및 탐색: 스코핑 리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수록지 정보 : 운동재활·복지 / 5권 / 1호 / 55 ~ 64페이지
    · 저자명 : 정재현, 김재화

    초록

    휠체어 배드민턴의 연구는 아주 적은 반면, 우리나라 휠체어 배드민턴 선수들의 수준은 세계 정상급의 실력을 갖추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선수와 비장애인 선수의 배드민턴 경기의 기술적 특성 비교를 통해 정량화된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스코핑 리뷰(scoping review)를 통해 휠체어 배드민턴 국내·외 논문 3편, 비장애인 국낸 논문 6편을 분석하였다. 선정 범위는 남자 단식 경기로 지정해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스트로크 기술 빈도는 차이가 있었다, 그 중 장애인 그룹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기술은 클리어였으며, 비장애인 그룹은 다양한 기술 패턴을 보였다. 둘째, 서비스 빈도를 분석한 결과 두 그룹 모두 숏 서비스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득점 기술에서는 두 그룹 간 차이가 있었다. 장애인 그룹의 경우 드롭샷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비장애인 그룹의 경우 스매시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장애인 그룹의 경우 움직임의 제한이 크고 코트의 반만 사용을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클리어를 통한 수비와 공격 시간을 확보한 후, 드롭샷으로 위닝샷을 가져가 후위 공격 진행 후 전위 지역 공격을 통한 득점 패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비장애인 선수들의 경우 코트의 전체를 사용하고 제약이 없는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기술 시도를 통해 상대의 균형을 무너뜨린 후 강하고 빠른 스매시를 위닝샷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타구 득점 위치 분석 경과 장애인 그룹은 전위에서 타구 득점이 이루어졌고, 비장애인 그룹은 한 곳에 편중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서의 타구 득점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휠체어 배드민턴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계획 수립 및 코칭 전략 개발과 훈련방식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While there are very few studies on wheelchair badminton, the level of wheelchair badminton players in Korea is world-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quantified data through comparison of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badminton game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athletes. Through a scoping review, thre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on wheelchair badminton and six domestic papers on the non-disabled were analyzed. The scope of selection was designated as a men's singles matc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stroke techniques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and among them, clear was the most used technique in the disabled group, and the non-disabled group showed various technology pattern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rvice frequency, both groups used short service the most.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scoring skills. In the case of the disabled group, drop shots were used the most, and in the case of the non-disabled group, smash was used the most. In the case of the disabled group, movement restrictions are large and only half of the court is used, so after securing defense and attack time through clear, it was confirmed that the winning shot was taken with a drop shot to have a scoring pattern through attack in the potential area after proceeding with the rear attack. In the case of non-disabled players, it was found that they used the entire court and used a strong and fast smash as a winning shot after breaking the opponent's balance through various technical attempts according to their unrestricted characteristic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atting scoring position, the group with disabilities scored a batting score from an electric potential, and the non-disabled group scored a batting score from various locations without being concentrated in one plac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heelchair badmint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systematic program pla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develop coaching strategies, and training meth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운동재활·복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