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범인 공동피고인의 증인적격과 피고인 지위의 우위성 – 위증죄의 성립과 관련하여 - (The witness eligibility of an accomplice co-defendant and the superiority of the defendant's statu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3.08
31P 미리보기
공범인 공동피고인의 증인적격과 피고인 지위의 우위성 – 위증죄의 성립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法學論文集 / 47권 / 2호 / 109 ~ 139페이지
    · 저자명 : 이승준

    초록

    형사소송법은 법률에 다른 규정이 없으면 법원은 누구든지 증인으로 신문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누구든지 자신이 경험한 사실에 대해 증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피고인의 경우 증인으로 신문하더라도 여전히 당사자로서 진술거부권이 있어 증인신문이 무용한 절차가 될 수 있다. 더욱이 공동피고인의 경우 다른 상피고인에 대해 증인이 될 수 있지만, 본인의 사건에 대해서는 여전히 피고인에 해당하여 자백한 자의 진술거부권과 다른 피고인의 반대신문권이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나아가 ‘공범인 공동피고인’인 경우, 소송절차가 분리되어 다른 상피고인의 공소사실에 관해 증인이 되더라도 자신의 범죄사실과 관련된 질문에 대해 방어권 범위 내에서 허위진술을 하면 이를 위증죄로 처벌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가 대두된다.
    본 논문은 공범인 공동피고인이 변론 분리가 이뤄지면 기계적으로 위증죄의 주체가 된다고 판단하는 논리의 위험성을 살펴보았다. 위증죄의 주체와 관련하여 공동피고인의 피고인지위와 증인지위 중 어느 지위에 우위를 인정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최근 하급심 판결의 고민이 충분히 음미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지금까지 공범인 공동피고인의 증인적격에 대해서는 절충설이 주류적 견해였으나, 변론분리라는 형식절차 너머에 있는 변론 분리의 진의와 공동피고인간 사건의 밀접한 관련성에 대해서는 많은 고민이 없었다. 피고인의 지위가 여전히 존속함으로 인한 진술거부권 등 헌법상의 권리를 간과한 측면이 크다. 이 지점에서 필자는 향후 절충설의 본지를 살릴 수 있는 방향에서 공판실무가 운용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즉 실질적 절충설의 관점에서 공동피고인간의 실질적 관련성(사건관계의 법리구성의 공통성 또는 책임비난의 상호관련성)과 변론 분리의 진의라는 보다 구체적인 기준을 기초로 위증죄의 성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제는 변론 분리라는 형식보다 자기부죄거부특권의 본래적 의미를 상기해볼 때가 되었으며, 이 점에 본 논문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states that the court may summon any person as a witness. However, in the case of an accused person, they still have the right to refuse to testify as a party. Furthermore, co-defendants can testify against each other, but they remain defendants in their own case, creating a conflict between the accused person's right to refuse to testify and the other defendant's right to cross-examine. In the instance of an ‘accomplice co-defendant,' even if the co-defendant's proceedings are separated, their status still remains that of a defendant. This status takes precedence over the status of a witness, raising the question of whether the defendant can be punished for perjury if they lie within the scope of their defense.
    This paper has outlined the logic that assumes a co-defendant who is an accomplice automatically becomes subject to perjury charges once. We conclude that the first and second trial courts argument need to consider. Until now, the mainstream view on the witness eligibility of co-defendants has been the compromise opinion, with not much thought given to the meaning of the separation of counsel beyond the form of separation and the close connection of the case between the co-defendants. However, the witness eligibility of co-defendants has largely overlooked the conflict with constitutional rights, such as the right to refuse to testify. Therefore, it has been argued that the compromise opinion should be applied in a way that can utilize its essence, considering the substantive relevance of the co-defendants.
    It is time to revisi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and this is where this paper comes 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