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柳夢寅 末年 散文의 樣式과 그 의미 -승려에게 준 贈序와 書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ate style in Ryu, Mong-in(柳夢寅)’s prose : Focused on his jeungseo(贈序) and letters to Buddhist monk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5.06
38P 미리보기
柳夢寅 末年 散文의 樣式과 그 의미 -승려에게 준 贈序와 書簡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43권 / 43호 / 185 ~ 222페이지
    · 저자명 : 안득용

    초록

    죽음이 눈앞에 있다는 절박한 상황 속에서 柳夢寅은 지난 삶을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자신의 삶이 담고 있는 사실과 진실을 꾸밈없이 전하려고 했다. 이 때문에 末年의 散文에서 우리는 그의 민낯을 보게 된다. 본고에서 유몽인 말년 산문의 양식에 관심을 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본고에서는 말년의 산문을 살피기 전에 우선 이 시기 산문의 주요 대상인승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몽인은 승려를 비판적으로 인식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승려들의 청탁을 거절하기 힘든 상황이었고, 贈序와 편지의 초점을 대상이 아니라 자신에게 돌려놓으면, 동시대혹은 후대의 독자들에게 자신의 심경과 상황을 설명하고, 자신의 감정을 토로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승려들을 대상으로 글을 썼던 것이다.
    이 글들은 크게 다음의 세 가지 樣式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첫 번째가 自己 解明과 自己 解說, 두 번째가 自負와 自嘲 및 出과 處의 갈등, 세 번째가 내면의 독백과 방백이다. 그 양상과 의미를 간략하게 서술하면다음과 같다.
    첫째, 유몽인은 말년의 산문에서 오해받을 만한 행적을 해명하고 그 의미가 모호하게 느껴지는 글의 의미를 직접 해설하려고 혼신의 힘을 기울였다.
    그 이유는 자신의 인생 행적과 이력을 오해 없이 전달함으로써 立言垂後하려고 했던 의지에 있다. 둘째, 말년에 이르러서도 대단한 자부를 견지했지만, 세상 사람들의 제대로 된 인식 부재와 세상과의 불화에서 기인한 좌절로 인해 자조 역시 빈번히 드러난다. 또한 이 시기에 발생한 仁祖反正으로인해 出處 사이에서 실존적 선택을 강요받고 동요하는 모습을 선명하게 드러내 보인다. 셋째, 자신의 행적을 설명하거나 실존적 선택 사이에서 동요하는 와중에 유몽인은 대상 승려가 아니라 여타의 독자에게 자신의 내면을傍白하고, 지독한 고민과 지난한 自問自答 속에서 자신의 속마음을 獨白 한다.
    이로써 보자면 유몽인은 죽음을 목전에 두고 비틀거렸지만 ‘나 자신’에초점을 두고 자기의 이야기를 풀어내면서 내면의 소리까지도 생생하게 전달하는 산문을 썼으며, 이러한 특징적 양식은 조선중기 한문학사를 한층 다양하게 만든 주요한 계기가 되었음에 틀림없다.

    영어초록

    Ryu, Mong-in(柳夢寅) wanted to write the fact and truth of his life and introspect his past life in his prose on the brink of eternity. So this report researched his late style.
    This report researched his attitude to buddhist monks first.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some features. First, he assumed a critical attitude to buddhist monks. Second, the reasons why he gave his prose to buddhist monk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circumstance made him accept requests. In the second place, He thought that he could explain his circumstance, and express his mind in the prose to Buddhist monks.
    This report researched his late style. And then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some features. Those are self-justification, self-explanation, and self-confidence, self-deprecation, the confliction between the positionfinding and the retirement, lately the monologue and the stage whisper.
    First, he tried to justify the misleading behavior and explain the ambiguous writing. Because he wanted to divulge his identity and personal history. Second, the self-confidence and the self-deprecation took turns in his late prose. And because of King injo’s restoration(仁祖反正), he was tottered between the position-finding and the retirement. Third, he said his mind in an aside, and said his inner conflict and his heart in a monolog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