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柳夢寅 漢詩에 보이는 ‘蓬’을 통한 자아 형상화 (A Study on the Self-figure through Feng(蓬) Appeared in Yu Mong-In(柳夢寅)’s Poetry)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5.04
18P 미리보기
柳夢寅 漢詩에 보이는 ‘蓬’을 통한 자아 형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59호 / 17 ~ 34페이지
    · 저자명 : 곽은정

    초록

    柳夢寅의 시에는 ‘蓬’이라는 詩語가 자주 등장한다. 이것은 그의 자아 인식 및 내면 의식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蓬’이라는 자아 형상을 통해 그가 스스로를 세상 속의 ‘나그네’ 혹은 ‘이방인’으로 인식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아 인식의 바탕에는 그의 몸(公的·私的으로 定着과는 거리가 멀었음)과정신(자신을 알아주는 이[知音]가 없는 세상 속에서 능력을 인정받지 못한다고 여김)의 삶이 복잡하게 뒤섞여있다. 그리고 그런 삶을 읊은 시에는 孤獨과 悲哀가 짙게 드러난다. ‘蓬’은 대체로 ‘風’과 함께 등장한다. ‘風’은‘蓬’을 떠돌게 하는 존재인데, ‘전쟁’이나 ‘정치 상황’처럼 개인의 힘으로는 어찌 할 수 없는 거대한 운명/현실등을 의미한다. 또 ‘蓬’은 “無根[뿌리가 없다]” 혹은 “辭根[뿌리를 떠났다]” 등의 시어와 함께 쓰이기도 한다. 이것은 유몽인 이전에도 관습적으로 사용되어 온 방식으로, ‘蓬’의 부정적 이미지를 강조했다. 하지만 유몽인은“蓬–無根/辭根/安分–君子” 대 “藤蔓/匏繫–住着/懷土/安土–小人”이라는 구도를 제시함으로써 ‘蓬’의 삶에 긍정적 의미를 부여한다. 그래서 기존에 ‘蓬’이 가졌던 부정적 이미지를 정반대로 뒤집는다. 특히 그의 작품 속에서 ‘蓬’이 상징하는 삶은 孔子나 司馬遷 등의 삶에 가깝기에 더욱 이미지 반전의 효과가 크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A poetic language, Feng(蓬), is often appeared in Yu Mong-In(柳夢寅)’s poetry. This term is an essential tool to understand his self-awareness and inner consciousness. Through the self-figure called Feng, we can find out that he perceived himself as a stranger or a wanderer in the world. On the basis of this ego recognition, his physical life(he was far from being stable privately and publicly) and spiritual life (he thought nobody recognizes his ability) are inextricably interwoven. A poetry that covers his life deeply shows his loneliness and sorrow. Feng usually accompanies wind. The existence of wind makes Feng wander in the world, which indicates a fate or a reality that we cannot do anything about such as ‘War’, ‘Political situation’ etc. Furthermore, Feng is often used with the words ‘無根[No roots]’ or ‘辭根[Left roots]’. The way of using these words have customarily been used by before Yu Mong-In. Also these words emphasizes the negative image of Feng. However, Yu Mong-In gives positive meaning to Feng’s life by introducing the structure like ‘Feng(蓬) – MuGeun(無根)/SaGeun(辭根)/AnBun(安分) – GunJa(君子)’ versus ‘DeungMan(藤蔓)/ PoGye(匏繫) – JuChack(住着)/HoeTo(懷土)/AnTo(安土)-SoIn(小人),’ which reverses the negative images of Feng. Especially, the fact that Feng shown in his work can b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ife of Confucius(孔子) or SimaQian(司馬遷) also plays a very effective role in reversing the negative images of the wo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