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자사상에서 ‘사랑’의 의미 고찰 - ‘인(仁)’의 개념사와 철학적 인간학 - (The Consideration on ‘Love’ Conception of Confucius: The History of Conception about In[仁] and Philosophical Anthropolog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4.08
27P 미리보기
공자사상에서 ‘사랑’의 의미 고찰 - ‘인(仁)’의 개념사와 철학적 인간학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윤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윤리교육연구 / 34호 / 195 ~ 221페이지
    · 저자명 : 장승희

    초록

    이 글은 고대에서 현대까지 ‘사랑’에 대한 일련의 연구 중 하나로, 공자사상의 사랑을 인(仁)으로 이해하고 이에 주목한 것이다. 사랑은 동양과 서양이 개념에 차이가 있고,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사랑, 불교의 자비(慈悲), 유교의 인(仁)은 넓은 의미로 사랑이지만 내포와 외연에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유교의 인(仁)은 보편적 의미에서 사랑이라고 이해되는데, 공자의 인(仁)에 대한 선행연구는 워낙 많아, 본 연구에서는 최근 학문영역의 하나인 개념사를 바탕으로 접근하였다. ‘개념사’는 하나의 ‘개념’이 역사의 행간에서 어떻게 영향을 주고, 행위자들이 개념을 사용하며 표현하려 했던 의미의 성층을 분석하여 경험, 세계관, 가치관, 사고방식, 희망과 공포 등을 읽어내고자 한다. 개념사에 근거하면, ‘사랑’[인(仁)]의 개념도 역사적 변화를 거듭하며 철학적 인간학적으로 다양하게 파악된다. ‘철학적 인간학’은 인간 주체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하여 인간 자신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와 전(前)이해를 전제로 현존재를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려고 한다. 공자사상에서 ‘인간다움’ 또는 인간에 대한 사랑으로 해석되는 인(仁)은, 사람이면 누구나 지녀야 하는 보편적인 품성이지만 공자 이전과 이후의 이해에 차이가 있다. 공자의 생애, 역사의식, 역사적 사명감에 대한 철학적 인간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할 때, 그가 왜 유교를 형성하고 유교이념으로 인(仁)을 강조하였는지 잘 알 수 있다. 공자의 인(仁)은 본질적 이해를 넘어 역사에 대한 미래 비전을 바탕으로 ‘탈중심성’과 ‘초월성’으로 확대되어 이후 유교사상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는 데 핵심 이념이 되고 있다. 그 핵심은 인간다움이며, 그것은 바로 인간에 대한 사랑이자 그것의 확대임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nfucius’ love conception, that is In[仁] as one of a series of love studies from ancient times to today. The preceding researches on In[仁] conception of Confucius so many that we could not count. Therefore, this study approaches In[仁] on the based ‘the history of conception’ as a recently significant field of study. The study by through has the advantage of knowing for us the concept how influences space between the lines of history, reading for us the meaning, experience, the view of world, the sense of values, way of thinking, aspiration and fear of them what expresses conductors in history by using that concept. By the history of conception, ‘love’ is everlasting not at all. As well one concept is diversely understood from a different standpoint of the subject in history. This understanding is based on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begins with question about human being, seeks transcendental understanding in order to grasping the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the extant being. The understanding is presupposing analytic understanding and previous understanding related with the world. In[仁] of Confucius is Being a human of loving human, universal personality that human being have to take with. His In[仁] has de-centralism and transcendentalism on the based future vision. His In[仁] concept differs pre and after his times. The organic system of In[仁] is building his historical cognition and the sense of duty. This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confucianism idea is In[仁].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윤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