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주 이진상의 춘추학- 『춘추집전』과 『춘추익전』을 중심으로 - (Yi Jinsang’s Study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 With a special focus on and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5.09
33P 미리보기
한주 이진상의 춘추학- 『춘추집전』과 『춘추익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60호 / 81 ~ 113페이지
    · 저자명 : 박인호

    초록

    이 논문은 이진상(1818-1886)이 편찬한 춘추학 저술인 『춘추집전』과 『춘추익전』 을 통해 당시 척사파 유학자들이 가지고 있었던 역사의식을 살펴보려는데 연구의 목표가 있다. 이진상은 조선 성리학의 6대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지목될 정도로 사상적으로 독자적 영역을 지닌 학자였다. 이진상은 주자와 이황의 학문을 조술하면서도 선진의 경학으로까지 나아가려고 하였다.
    그의 학문적 성과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거질의 『춘추』 연구서의 편찬이다. 『춘추집전』에서는 『춘추』에 대한 전문을 수집하고 안설을 덧붙여 경세經世와 존군부尊君 父의 대의를 밝혔다. 『춘추익전』에서는 춘추 전후의 시대사 편찬을 통해 존주尊周와대일통大㊀統의 대의를 천명하였다. 이진상은 사실에 대한 측면은 『좌전』의 기록을취하고 의리적인 측면에서는 『호전』의 기록을 취하여 책을 편찬하였다. 이는 조선 중후기 주자학자들이 『좌전』을 위주로 하면서도 『호전』을 수용한 것의 연장선상에 있다.
    다만 정조 이후 중국으로부터 고증학 서적이 도입되고 독자적인 경학 연구가 진행되면서 『좌전』 수용의 흐름이 정조와 일부 유신 사이에서 나타났다. 이진상은 결과적으로 이러한 흐름에서 다시 『호전』 위주로 갔다고 할 수 있다.
    경학의 측면에서 본다면 이진상의 춘추학은 청대 고증학의 경전에 대한 주석 연구를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진상은 『호전』을 위주로 하면서도 안설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제기하고 있으며, 『호전』의 해석 가운데 경문의 뜻에 부합하지 않는 부분을 비판하였다. 춘추학사적 측면에서 본다면 『호전』에 대한 비판과 변화 모색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필요하였던 현실적 배경에는 당시 제국주의 침략이 있었다. 이진상은 지방의 한미한 유학자이었지만 시대적 소명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진상의 위정척사적 행동의 이론적 배경에는 춘추학이 있었다. 이진상이 생애의 말기에 『춘추집전』 과 『춘추익전』를 통해 경세의식과 존주의식을 보이려고 한 것은 이러한 위기에 대한학문적 대응이었다. 이진상은 자신의 척사적 입장이 『춘추』 의리에 닿아 있음을 『춘추』 연구를 통해 표방함으로써 경학적 측면에서 행동의 정당성을 뒷받침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awareness of Confucian scholars from the rejecting heterodoxy group (cheoksapa) based on the <Chunchu jipjeon)> and <Chunchu ikjeon>, writings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compiled by Yi Jinsang (1818-1886). Yi Jinsang was an independent scholar who has been hailed as one of the six masters of Joseon Neo-Confucianism. Yi propagated the study of Zhou Xi and Yi Hwang and even pursued the study of early Confucian Classics (gyeonghak).
    The highlight of Yi Jinsang’s academic achievements was his compilation of books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While Yi emphasized the great cause of statecraft (gyeongse) and respect for king and father (jongunbu) in his work, <Chunchu jipjeon> created by collecting the main texts of <Spring and Autumn Annals> and adding his commentaries, he highlighted the great cause of respecting the Zhoudynasty (jonju) and great unity (daeiltong) in <Chunchu ikjeon>, a compilation of history before and after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Yi’s books were motivated by his acceptance of the records found in the <Commentary of Zuo (Zuo Zhuan)> as pertained to the notion of truth and in <Hu Anguo’s Commentary (Hu Zhuan)> as pertained to righteousness. This was an extension of the Neo-Confucian scholars of mid and late Joseon’s acceptance of <Hu Anguo’s Commentary (Hu Zhuan)> as an accompaniment to the traditionally accepted <Commentary of Zuo (Zuo Zhuan)>. However, there emerged a trend towards the renewed acceptance of the <Commentary of Zuo (Zuo Zhuan)> among King Jeongjo and some of his meritorious subjects. This trend emerged as books for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were introduced from China, and the independent study of Chinese classics became more popular. Yi Jinsang’s study can be regarded as a throwback to the study of <Hu Anguo’s Commentary (Hu Zhuan)>.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Yi’s study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did not keep up with the study of annotations of Chinese classics established during the Qing period in terms of bibliographical studies. While his study was mainly based on <Hu Anguo’s Commentary (Hu Zhuan)>, Yi nevertheless revealed his own opinions through commentaries. He criticized aspects of the interpretation of <Hu Anguo’s Commentary (Hu Zhuan)> that did not coincide with the meaning found in Chinese classics texts. In terms of the study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Yi criticized <Hu Anguo’s Commentary (Hu Zhuan)> and searched for alternatives.
    The necessity for this change in ideology was rooted in the imperialist invasions of the time. Although Yi was a local Confucian scholar, he had a clear awareness of the times. He either participated in or expressed his support to people’s request for Jeong Gu’s registration to Confucius at the State Shrine (munmyo) to conduct a rite, opposed the eradication of private academies (seowon), and supported the submission of the Memorial of Ten Thousand Men from Gyeongsang Province (Yeongnam maninso). He also raised a righteous army in Seongju when the Unyo incident emerged in 1876.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Yi Jinsang’s actions in support of the rejection of heterodoxy (cheoksa) was rooted in his study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Yi’s exhibition of respect for the Zhou dynasty (jonju) and its statecraft (gyeongse) based on the <Chunchu jipjeon)> and <Chunchu ikjeon> during the latter period of his life can also be seen as his academic response to the ongoing national crisis. Yi Jinsang sought to justify his actions taken under the guise of his study of Chinese classics by claiming that his position of rejecting heterodoxy (cheoksa) was connected to the righteousness embedded i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Chunch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