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經學史적 관점에서 본 浦渚 趙翼의 中庸觀 (Cho Yik (趙翼)’s Point of View of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in Korean History of Classical Learning)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8.06
27P 미리보기
經學史적 관점에서 본 浦渚 趙翼의 中庸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83호 / 207 ~ 233페이지
    · 저자명 : 황병기

    초록

    이 글은 조선 중기 주자학이 대세를 이루던 시대에 살았던 현실 정치가이자 사상가인 浦渚 趙翼의 『中庸』에 대한 관점을 경학사의 관점에서 문화다원론적으로 살펴본 논문이다. 조익의 시대는 이미 退溪 李滉과 栗谷 李珥에 의해 주자학이 조선에 일정 정도 일반화된 시대였다. 형이상학적 입장에서나 현실 정치학적 입장에서도 조선의 國是인 성리학이 자리를 공고하게 잡아가던 시기였다. 『중용』 관련한 최초의 논설인 「中庸說」은 이후 『中庸私覽』과 『中庸困得』 저작의 대체적 방향과 내용을 논한 것으로 그 두 책의 기본 사상노선을 예고한 것이었다. 「中庸困得後說上下」는 중용 관련한 마지막 논설로서 「중용설」로부터 시작된 자신의 『중용』관을 종합적으로 재천명하면서 정리한 글이다. 이 글은 조익의 대표적인 『중용』 관련 저작으로 29세 때 지은 『中庸私覽』과 37세 때의 『中庸困得』을 중심으로 경학적 전이와 일관성을 검토하였다. 조익의 경학에 대한 초기 연구가 양명학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작업에서 시작되어 마치 양명학자인 것처럼 오인되어 왔으나, 전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조익의 경학을 가정의 방식으로 양명학으로 치부하는 것은 잘못된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 양명학으로 보기에는 주자학적 색채가 너무나 강하다. 조익 스스로 朱子를 높인 언설이 많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 주변인들도 조익의 경학을 주자학 외의 것으로 규정한 바가 없다. 『중용』의 분절 방식에서 饒魯의 설을 채택한 부분이 많은 것을 가지고 반주자학으로 매도하는 것도 이미 朱熹의 설 가운데에 饒魯의 분절 방식이 먼저 존재했기 때문에 근거가 없다. 또한 그의 교유관계를 가지고 양명학자로 간주하는 것도 당대 사람들의 평가와 조익 자신의 글에 있는 자료들을 놓고 보면 전혀 근거가 없는 것들이다. 지각본선설이나 만물일체사상 같은 경우도 이미 朱熹의 저서에 내포되어 있다. 현실정치적인 실천성을 가지고 양명학적 良知良能의 실현으로 본다거나, 陽朱陰王說도 전혀 근거가 없는 것들이다. 조익은 朱熹를 공자 이후 가장 훌륭한 일인자로 평가하였고, 그를 존숭하고 심복하였다. 그가 주희와는 다른 견해들을 제출한 것은 주자학을 보다 더 공고히 하는 데에 세심함을 더했을 뿐이다. 경학사적으로 볼 때, 조익의 경학은 주자학의 테두리 안에서 퇴계학과 율곡학의 계열과는 다른 계열의 학문을 전개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것은 한국의 경학사를 풍부하게 하는 일면으로 연구하고 개발할 가치가 있다고 보인다. 그것은 조선의 유학사를 이기론과 심성론과 같은 형이상학 위주의 서술에서 더하여 경전에 대한 분류론, 구성론 등의 문법학으로 확장하는 하나의 전기가 될 수 있으며, 경도된 성인론에서 탈피하여 진리론 그 자체에 대한 탐구로 진전시킬 수 있는 큰 계기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article of Pojeo Cho Yik (浦渚 趙翼: 1579~1655)’s point of view related to the book of Doctrine of the Mean (中庸) in the mid-Joseon Dynasty, when Neo Confucianism was overwhelming.
    At the age of 24, he wrote the Article of Doctrine of the Mean (jung yong seol 中庸說) which was explained the basic lines of the books related to the book of Doctrine of the Mean (中庸) to be written later. He wrote the Indivisual Opinion of Zhongyong (jung yong sa ram 中庸私覽) at 29, and wrote the Hard-earned Zhongyong (jung yong gon deuk 中庸困得) at 37.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itions and consistency of his point of view of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in Korean History of Classical Learning, focusing on the Indivisual Opinion of Zhongyong (中庸私覽) and the Hard-earned Zhongyong (中庸困得).
    The early research on his scholarship started from the work of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ang Yangming (王陽明) and it has been mistaken as one of the schools derived from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but it turns out to be absolutely irrelevant. His thoughts and arguments are so strong in the colors of Neo Confucianism, whicd is derived from the teachings of Zhu Xi (朱熹). And the scholars who knew him at that time absolutely did not define his study as the study of Wang Yang-ming.
    We can not say that he is the opposite of Zhu Xi, just because his way of distinguishing sentences of the book of Doctrine of the Mean (中庸) is different from Zhu Xi. Because Zhu Xi had already mentioned it in his other works. And although he had been associated with the Yangming scholars, they had never mentioned him as a Yangming scholar.
    Cho Yik regarded Zhu Xi as the best person after Confucius, and genuinely admired him. His submission of opinions different from Zhu Xi only added to his meticulousness to further strengthen Zhu Xi’s neo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