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이재난고』를 통해 본 대차관계와 이자율 (Loan Relations and Interest Rates from the 18th Century "LeeJae-Nango")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2.12
40P 미리보기
18세기 『이재난고』를 통해 본 대차관계와 이자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24호 / 205 ~ 244페이지
    · 저자명 : 이정수

    초록

    18세기 사회의 모습을 다방면으로 엿볼 수 있는 황윤석의 일기인 『이재난고』를 통해서 황윤석의 대차거래와 이자율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의 이자 관련 법령과 『이재난고』에서 구별하여 사용한 ‘債’와 ‘貸’의 용례를 검토하고, 나아가 황윤석의 부채 사유와 채권자의 실태, 그리고 채무의이자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선후기의 이자율 관련 법령은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쳤지만 18세기 중반을 기점으로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18세기 중반 『속대전』(1746년 편찬) 이후공사채와 米·布·銀·錢의 구분 없이 모든 법정 이자는 연리 2할로 통일되었다. 그리고 『이재난고』에는 대차거래에서 ‘債’나 ‘貸’의 용어를 둘 다 ‘돈을 빌리다’ 는 의미로 사용하였지만 빌리는 돈의 질적인 성격에 따라 ‘債’나 ‘貸’를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황윤석은 관료지주였지만 거의 평생에 걸쳐 부채에 시달렸다. 그는 여러 사유로 많은 빚을 지게 되었지만 그 가운데에서도 20대에서 30대까지 지속된 科 擧를 위한 상당한 비용과 하급 관료로서 서울 재직 중에 다수 지출된 생활비등이 부채의 주요 요인이었다. 황윤석은 급전이 필요할 때 경강상인이나 반주인, 공인·경주인 등의 상인들과 지인들, 친척과 문중, 관청 등 여러 방면으로 부채를 얻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그가 빚을 얻기 위해 많이 의존한 주요 채권자는 ‘江債’로 표현된 경강상인과 ‘泮債’로 표현된 반주인 등의 상인층이었다. 그가 급전이 필요할 때 주로 의지한 상인 자금의 이자는 대체로 月利 8% 이상, 年利 100%에 달하는 고리대가 일반적이었다. 이를 통해 볼 때 당시 정부가 정한 공사채의 법정 이자율 年利 2할과는 달리 민간의 대차거래에는 여전히 고리대가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황윤석은 관료지주였음에도 불구하고 고리대를 빈번히 활용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그의 주요 채권자가 경강상인과 반주인, 공인·경주인, 개성상인등의 상인층이었다는 사실은 주목된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에 와서 화폐경제의 발전과 함께 상업 자본이 고리대 자본으로 활발히 전화되고 있었으며 고리대가 농민층에 그치지 않고 양반층에 이르기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고리대 자본의 성장은 계층 간의 부의 편차를 심화시키고 고리대의 가장 큰 피해자인 농민층의 분해를 더욱 촉진시켰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Here, through Hwang Yun-seok's diary "LeeJae-Nango", which provides a glimpse of society in the 18th century, the contents of Hwang Yun-seok's loan relationship and interest rate were reviewed. In particular,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est-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 the Joseon Dynasty, and review the examples of "chae(債)" and "dae(貸)" used separately in "LeeJae-Nango". Furthermore, it focused on the reasons for Hwang Yoon-seok's debt, the status of creditors who owed him debt, and the contents of Hwang Yoon-seok's debt interest rate.
    The interest rate-related law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ve undergone several revisions, but they have changed significantly since the mid-18th century. After "Sokdaejeon(續大典)"(compiled in 1746) in the mid-18th century, all legal interest was unified at 20% per annum, regardless of the distinction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bonds. In addition, the terms "chae(債)" and "dae(貸)" were both used in loan transactions to mean "borrowing money", but "債" or "貸" were us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money borrowed.
    Hwang Yun-seok was a bureaucrat but suffered from debt almost all his life. He was heavily indebted for a number of reasons, but among them, considerable costs for Gwageo(科擧) that lasted from his 20s to 30s and living expenses spent heavily while serving in Seoul as a junior official were the main factors. When Hwang Yoon-seok needed urgent money, he tried to obtain debts in various ways, including merchants such as Gyeonggang merchants, Ban-juin, Gong-in and Gyeong-juin, acquaintances, relatives, family members, and government offices. In particular, the main creditors he relied heavily on to obtain debt were merchants such as Gyeonggang merchants(京江商人) expressed in "Gangchae(江債)" and accompanists expressed in "Banchae(泮債)". When he needed urgent money, the amount of merchant funds such as Gangchae, Banchae, Gong-in(貢 人), and Gyeong-juin(京主人), which he relied on, was usually more than 8% of the monthly interest and 100% of the year interest.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unlike the legal interest rate of public and private bonds set by the government at the time, the loan-to-deposit ratio is still generally applied to private loan transactions.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Hwang Yun-seok not only frequently used usury despite being a bureaucratic landowner, but also that his main creditors were merchants such as Gyeonggang merchants, Ban-juin, Gong-in and Gyeong-juin. From this, it can be assumed that commercial capital was actively transformed into usury capital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netary econom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usury was socially widespread to the extent that it was widely used not only by the peasantry but also by the noble class. The growth of usury capital is thought to have deepened the wealth gap between classes and accelerated the decomposition of the peasant class, the biggest victim of us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