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체계적인, 너무나 체계적인- 박재연(2006)을 중심으로 - (Systematic, so systematic: with respect to J. Park(2006))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1.05
17P 미리보기
체계적인, 너무나 체계적인- 박재연(2006)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형태론
    · 수록지 정보 : 형태론 / 13권 / 1호 / 107 ~ 123페이지
    · 저자명 : 임동훈

    초록

    박재연(2006)은 양태 어미가 양태의 어떤 하위 영역을 가리키고 다른 양태 어미와 어떤 대립 관계에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국어 양태 어미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 논의는 지나친 체계성을 추구한 나머지 이론 구성과 적용 면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한국어 양태 어미 기술에서 서법이란 용어가 불필요하다고 하였으나 이는 인구어적 편견이 작용한 결과이며, 서법 범주는 동사의 굴절이라는 형식상의 기준보다 평서적인 것이나 단언적인 것과 대립하는 의미상의 기준, 그리고 필수성과 상호 배타성이라는 분포상의 기준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둘째, 양태를 정의할 때 소위 ‘화자의 주관적 한정’이 중요한 요소이긴 하나 이를 수행성으로 등치시키는 것은 양태 어미들이 종속절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 또 동적 양태 대신 주어 지향적 양태의 개념을 채택하는 것도 개체 내적인 속성․조건과 화자가 부여하지 않는 개체 외적인 속성․조건을 모두 포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 행위 양태는 서술어로 동사가 아닌 계사나 형용사도 쓰일 수 있어 행위의 성격이 불분명하고, 또 문장 유형과 행위 양태를 가리는 기준이 자의적이다. 넷째, 인식 양태의 하위 영역으로 정보의 확실성에 대한 판단, 정보의 획득 방법, 정보의 내면화 정도, 청자 지식에 대한 화자의 가정이란 4가지를 제시하였는데, 뒤의 두 가지는 앞의 두 가지와 그 지위가 동일하지 않다. 다섯째, ‘-더-’의 인칭 제약을 ‘새로 앎’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았으나 ‘새로 앎’의 의미가 있다고 기술된 ‘-구나’가 인칭 제약이 없는 점을 고려할 때 인칭 제약은 ‘과거 지각’이라는 의미에서 설명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여섯째, ‘-네, -구나’는 지각, 추론과 같은 증거성의 영역과 관련되고 ‘-지’는 기지 가정의 의미를 가진다고 하였으나 ‘-구나’의 경우에는 증거성의 의미를 찾기 어렵고 ‘-지’는 기지 가정으로 보기 어려운 예가 많고 제안이나 명령에 쓰이므로 타당한 기술이라고 하기 어렵다.

    영어초록

    J. Park (2006) aimed to systematically describe which subdomain the modal meanings of endings belong to and what kind of opposition they make. However, this book seemed to have some problems with respect to theory and its applications because of excessive systematicity. First, this book claimed that the term ‘mood’ is unnecessary in Korean; however, I think that this opinion results from Indo-European prejudices. In defining the mood category, the criteria of meaning and distribution are more important than the criterion of form such as verbal morphology. Mood as a grammatical category can express the meanings that contrast with declarative and assertive, and it should show the obligatoriness and mutual exclusiveness. Second, although a speaker’s subjective qualifica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defining modality, the equation of this component with performativity has some problems. This claim does not explain the phenomenon that modal endings can appear in subordinate clauses. In addition, as the adoption of subject-oriented modality instead of dynamic modality cannot cover both the domains such as participant-internal modality and non-deontic participant-external modality. Third, action modality has two problems. The sentences where action modality is expressed may have adjective and copular predicates; in addi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action modality and sentence type is arbitrary. Four, this book claimed that epistemic modality has four kinds of subdomain such as ⅰ) certainty ⅱ) information source ⅲ) assimilation ⅳ) hearer knowledge. However, the statuses of ⅲ) and ⅳ) are not the same as ⅰ) and ⅱ). Five, this book claimed that the person constraint of the ending ‘-te-’ derives from the new knowledge meaning of ‘-te-’. Nevertheles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nding ‘-kwuna-’ has no person constraint which is claimed to have the new knowledge meaning, it is more reasonable that the person constraint of ‘-te-’ derives from past perception meaning of ‘-te-’. Six, this book claimed that ‘-ney, -kwuna’ is related with the evidentiality domain such as perception, inference, and ‘-ci’ has hearer’s already knowing meaning. However, ‘-kwuna-’ does not have any evidential meaning, and ‘-ci-’ is frequently used in the context where the hearer’s already knowing meaning cannot be f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태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