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후반 시단과 이상(李箱) -시 전문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e Sang(李箱) of Poetical Circles in the late-1930’s -Focusing on the Poetry Magazin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9.12
37P 미리보기
1930년대 후반 시단과 이상(李箱) -시 전문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23호 / 353 ~ 389페이지
    · 저자명 : 이유미

    초록

    본고에서는 1930년대 후반 시 전문지에 나타난 이상(李箱)과 신세대 시인의 연관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1936년 11월을 기점으로 많은 양의 시 전문지가 발행된다. 그 중 『시인부락』은 신세대 시인의 집결 장으로 평가받는데, 『시인부락』일원들은 이상과의 만남을 통해 동류의식을 형성한다. 이 글은 이 점에서 『시인부락』 일원들이 참여한 『자오선』에 이성범의 「이상애도」와 이상의 유고 「파첩」이 게재됨으로써 1930년대 후반 시단과 이상의 접점이 지속적으로 드러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이상의 「파첩」에 등장한 카인은 신세대 시인인 오장환과 서정주의 작품에도 등장함으로써, 카인을 접점으로 세대의 교차가 발견되는 것을 구명하고자 했다. 이상의 「파첩」에 등장한 카인이 시대의 반항아로 그려졌다면, 오장환과 서정주의 카인은 현대를 살아가는 방랑자이자, 생명력의 재생과 고양을 보여주는 대상으로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시인부락』, 『자오선』. 『맥』으로 이루어지는 시 전문지의 흐름 속에서 이상은 신세대 시인들과 동세대 시인으로 자리한다. 그들에게 이상은 가치 있는 타자로서 자리할 뿐 아니라 새로움의 추구에 위치한다. 그들에게 이상의 시는 지성으로 포착되지 않은 생명을 강조할 뿐 아니라 보이지 않는 영역을 그려냄으로써 새로움을 창출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이상의 시사적 위치를 신세대 시인들과 접점에서 조명함으로써 1930년대 후반 시단의 역동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Sang and the new generation of poets, which appeared in the poem magazine in the late1930s. Starting in November 1936, a large number of poetry magazines are published. Among them, 『Siinburak』 is regarded as the gathering place of the new generation of poets, and the members of the 『Siinburak』 form the same consciousness through the contact with Lee Sang .In this regard, this article examined whether Lee Sung-bum’s 『LeeSangaedo』 and 「Pa-Cheop(破帖)」 in the 『Jaosun』, where members of the 『Siinburak』, participated, revealed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Lee Sang. In particular, Cain, who appeared in the 「Pa-Cheop(破帖)」, appeared in the works of the new generation poets Oh Jang-hwan and Seo Jeong-ju and tried to clarify the intersection of generations by using Cain as a contact point .If Cain appeared in the 「Pa-Cheop(破帖)」 is depicted as a rebellious child of the times, Oh Jang-hwan and Seo Jeong-ju’s Cain are the wanderers living in modern times and the objects showing the renewal and uplift of vitality. In this process,『Siinburak』, 『Jaosun』 In the flow of poetry magazines consisting of 『Mack』, Lee Sang is positioned as a new generation poet and a same generation poet. It can be seen that Lee Sang not only emphasizes life not captured by intelligence but also creates newness by drawing invisible realms. In addition, the poetic position of the poetical circles in the late 1930s could be recognized by illuminating the current position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new generation of poe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