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義田’의 국내 수용과 전승 양상 (A study of “Eui-jeon(義田)”’s domestic acceptance and transmission aspec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0.09
30P 미리보기
‘義田’의 국내 수용과 전승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84호 / 167 ~ 196페이지
    · 저자명 : 정향춘

    초록

    본고는 義田의 한국적 수용과 전승 양상을 주로 麗末 문인 李穀의 「義財記」와 北宋 錢公輔의 「義田記」를 상대로 고찰하였다. 전자는 李敬輔의 義財를 칭송한 記文이고, 후자는 范仲淹의 義田을 찬양한 글이다. 양 記文은 仁義를 기반으로 일가친척을 먹여 살리고 친족지간의 情誼를 돈독히 하기 위한 義財(義田)를 포양했다는 공성으로 전후 수용 내지 전승관계가 드러난다. 본고는 이러한 수용관계를 仁義의 취지, 「常棣」 詩旨의 구현, ‘義田’ 내지 ‘나눔’ 전통의 수립과 전승에서 파악하였다. 仁義의 취지에서는 어려움에 처한 친족을 구제한다는 측면에서 양 작품은 맥이 통한다. 단 「義財記」의 집필 동기는 형제지간의 情誼를 돈독히 하기 위한 노력을 시인하고 그것이 「상체」시지와 관련이 밀접함을 밝히는 것이고, 「義田記」의 집필 동기는 어려운 친족을 구제하기 위해 의전을 마련한 범중엄의 高義를 칭송하고 후세에 전하고자 한데 있었다. 「상체」시지의 구현에서는, 양 작품에서 인용한 『맹자』의 ‘親親’언급을 통해 형제우선의 「상체」시의 내함이 반영되었다. 단 「의전기」는 사건 기술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체」 詩旨를 구현했다면, 「의재기」는 의재의 목적이 「상체」시의 창작 동기와 직접 관련됨을 드러내었다. 특히 형제와 붕우를 本末의 관계로 파악하고 ‘親親’의 이치가 지켜지지 못한 원인을 분석한 것은 「의전기」에서 직접 다루지 못한 부분을 보완한 것이 되는바, 이런 상황은 양 작품이 전후 수용관계만이 아니라 互文의 가치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義田’전승의 측면에서는, 한중 양국의 의전 내지 의재가 후세에 준 영향을 검토하였다. 중국의 경우 후세에 준 義田의 영향은 막대하였고, 한국은 중국처럼 성행은 못했어도 일부 기록을 통해 義田 내지 義財 조치가 전승되고 있었음을 보게 된다. 특히 義田이 수용된 후 그 명칭이 義田에 그치지 않고 다양하게 시도되었던 점, 그리고 친족형식에만 그치지 않고 백성을 망라한 公의 측면에서도 ‘나눔’의 연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사실 이러한 ‘나눔’은 불우이웃돕기, 장학재단 등의 형식으로 현재 여전히 전승되고 있어 그것의 연원이 되었던 의전 내지 의재의 가치를 더욱 주목하게 된다. 그리고 금전만능의 현대 사회에서 금전(遺産) 등으로 인한 형제들 사이의 불화를 감안하면 「상체」 詩旨 및 義田․義財의 사고방식이 현대인에게도 시사되는 바가 있지 않을까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d “Eui-jeon”’s acceptance and transmission aspect in Korea from analysing “Eui-jae gi(義財記)” by Lee Gok(李穀) of late Goryeo and “Eui-jeon gi(義田記)” by Jeon Gongbo(錢公輔) of Northern Song(北宋). The first one praise Lee Kyeng-bo(李敬輔)’s Eui-jae(義財) and the second one praised Beom Jong-em(范仲淹)’s Eui-jeon(義田).
    Both articles support an idea named Eui-jae(Eui-jeon) which means feeding relatives and strengthening kinship affection motivated by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Therefore, it can be seen as there are acceptance or transmission between them. This paper mainly contains three aspects: the purpose of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how the two works embody the theme of “Shangche(常棣)”; the establishment and transmission of “Eui-jeon” or “sharing” traditions.
    Firstly, as well as mentioned, both works agree in the idea that one should save his relatives in difficulty. However, the motivation for writing “Eui-jae gi” is to admit the efforts to strengthen brotherhood and to reveal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poem of “Shangche(常棣)”. While “Eui-jeon gi” is to praise Beom Jong-em(范仲淹)’s high-rightness, which has been showed by preparing “Eui-jeon” to save his relatives in difficulty, and to spread his high-rightness generation by generation.
    Secondly, both quoted Mencius(맹자)’s view of “Chinchin(親親)” to embody the theme of “Shangche(常棣)”, which put brotherhood first. However, “Eui-jeon gi” take it in indirectly by describing the event. While “Eui-jae gi” revealed that the purpose of the article was directly related to the motive of creation of “Shangche”. In particular, “Eui-jae gi” strengthened close-bonded brotherhood instead of friendship and analysed why “Chinchin” logic was not kept which was not dealt with in “Eui-jeon gi”. These points show that the two works have not only acceptance relationship, but also have the value of “Homun(互文)”.
    Thirdly, it reviewed Eui-jeon or Eui-jae’s influence on posterity in both Korea and China. In China, Eui-jeon’s influence on posterity was enormous. In Korea, although there was not prevalence as China, some records show that the actions of Eui-jeon or Eui-jae were being passed down. In particular, there were various attempts to carry out sharing actions after the acceptance of Eui-jeon. And the range of Eui-jeon also expanded to the public. These facts could be seen as the origin of “sharing”. In fact, these kind of “sharing” are still handed down in the form of “helping the needy”, “scholarship foundation”, etc. Therefore, the value of Eui-jeon or Eui-jae which is the origin of “sharing” has become more noticeable. Given the discord between siblings due to money, etc. in the modern society full of Materialism, the theme of “Shangche” and Eui-jeon, Eui-jae’s ideas are may be very thought-provoking for modern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