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허균의 한문단편에 나타난 죽음의 서사기법적 연구 - <장생전>과 <장산인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arrative technique of death in Jangsangjeon and Jangsaninje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1.12
27P 미리보기
허균의 한문단편에 나타난 죽음의 서사기법적 연구 - &lt;장생전&gt;과 &lt;장산인전&gt;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60권 / 4호 / 151 ~ 177페이지
    · 저자명 : 김진영

    초록

    이 논문은 허균의 한문단편에 나타난 죽음의 서사기법적 가치를 구명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먼저 허균의 한문단편에서 죽음의 양상을 확인하고, 이어서 죽음을 활용하여 나타난 서사구도와 효능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죽음 기법의 서사문학사적 위상을 조망하였다.
    먼저 허균의 한문단편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이다. <장생전>과 <장산인전>에 나타나는 죽음을 서사단락과 견주며 확인하였다. 두 작품에 나타나는 죽음은 모두 서사의 마지막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유별난 생장을 거친 두 인물은 살아생전에 기이한 일을 지속한다. 그러한 사정을 일화를 들어 제시하고 있다. 그러다가 마지막 죽음을 다룬 부분에서 기이성이 한껏 고양되도록 했다.
    다음으로 죽음을 통한 서사구도와 효능을 고찰하였다. <장생전>과 <장산인전>은 생전의 현실담과 사후의 현실담으로 서사구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도는 서사적인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묘책이라 하겠다. 생전의 현실담과 사후의 현실담으로 나누어 서사함으로써 서사공간을 확장하면서 죽은 사람의 세계를 현실로 끌어오는 효과를 거두었다. 그리고 생사를 초월하여 인물의 비범성을 제고하기도 하였다. 게다가 강고한 현실의 기득권층을 비판하면서 이상향에 대한 동경을 담아내기도 했다.
    끝으로 죽음 기법의 문학사적 의의를 조망하였다. <장생전>과 <장산인전>에서 죽음을 서사기법으로 활용한 것은 전기서사(傳奇敍事)의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전기서사에 변주를 가하여 죽음의 세계가 현실과 다름없게 서사하였다. 죽음을 활용한 서사구도는 후대의 고전소설에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후대 도교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죽음을 다룬 고전소설의 서사구도가 생전의 현실담→사후의 현실담→선계의 진입담을 보이는데, 이는 허균의 한문단편에서 구비되었던 것과 동일하다. 허균의 한문단편이 전기서사의 기법을 이어받아 후대의 고전소설로 넘겨주는 가교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death from Heo-Gyun’s Chinese short story in terms of narrative technique. In Heo-Gyun’s Chinese short story, the aspect of death was identified, and then the narrative composition and efficacy that appeared using the death were analyzed. Finally, the historical status of narrative literature in death techniques was overviewed.
    The aspect of death in Heo-Gyun’s Chinese short story was looked at. In other words, the deaths in Jangsangjeon and Jangsaninjeon were confirmed by comparing them with narrative paragraphs. Deaths in both works are arranged ath the end of the narrative. The two characters, who have gone through unusual growth, continue to do strange things during their lifetime. Such circumstances are presented with anecdotes. Then, in the part dealing with the last death, the eccentricity was raised to the fullest.
    The narrative composition and efficacy through death was considered. Jangsaengjeon and Jangsaninjeon can be set up as narrative composition with lifetime and after death stories. This composition is a trick to increase the narrative efficacy. By deviding it into lifetime and after death narratives, it had the effect of bringing the world of the dead into reality by expanding the narrative space. In addition, they improved the extraordinary nature of the character by breaking away from life and death. Also, the solid reality establishment was criticized and longing for utopia was expressed.
    The literar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death technique was overgrieved. The use of death as a narrative method in Jangsaengjeon and Jangsaninjeon can be seen as inheriting the tradition of biographical narrative. However, by varying the biographical narrative, the world of death was narrated as if it were a reality. The narrative composition using death also influenced later classical novel. The narrative composition of a classic novel about death shows a realistic story → after-death story → heavenly story, which was provided in Heo-Gyun’s Chinese short story. Heo-Gyun’s Chinese short story can be seen as a bridge to inherit the technique of biographical narratives and hand them over to later classic nov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