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명특성과 순음 및 어음 청력역치와의 관련성 - 일개병원 소음성 난청 보상자들을 대상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Tinnitus and Hearing Threshold - In Workers with Noise Induced Hearing Loss from a Hospital Setting -)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2.12
10P 미리보기
이명특성과 순음 및 어음 청력역치와의 관련성 - 일개병원 소음성 난청 보상자들을 대상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직업환경의학회
    · 수록지 정보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24권 / 4호 / 431 ~ 440페이지
    · 저자명 : 김남정, 권영주, 박형욱, 심창선, 이충렬, 이지호

    초록

    목적: 소음성 난청 유소견자(D1)로 직업병 판정을 받은근로자들 중 이명을 동반한 자들을 대상으로 이명의 특징(이명주파수, 강도, 이명의 감각적 크기 등)과 순음청력역치(Pure Tone Audiometry, PTA)및 어음검사(Speech Audiometry, SA)결과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4~2009년 6년 동안 청각장해보상을 목적으로 일개병원에 내원한 근로자 232(464귀)명 중 귀 질환의 과거력이 있거나 검사간 신뢰성이 없는 대상을 제외하고 총 189명(378귀)을 최종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근로자들의 연령, 작업경력, BMI, 혈압, 소음노출수준등 일반적인 사항과 순음청력검사, 어음검사, 어음명료도, 이명주파수 및 이명의 크기 등의 청각학적인 내용을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에서 이명유무에 따른 양군간의검사결과는 t-test, 이명주파수별 순음 및 어음검사결과는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근무경력, 나이, 소음노출수준을 통제한 상태에서 변수간의 상관성은 편상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순음청력검사(3분법, 고주파수 평균) 및 어음청력검사(어음역치, 쾌적역치, 어음명료도) 결과에 대한 나이, 근무경력, 소음수준,이명강도 및 이명의 감각적 크기 등의 영향을 파악하기위해 부분 최소자승 회귀분석법(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결과: 1. 연구대상자들의 평균청력은 44.2 dBHL로 중등도 이상의 난청 수준이었다.
    2. 순음청력검사 결과 8000 Hz를 제외한 모든 주파수에서 이명이 있는 군의 청력역치가 이명이 없는 군에 비해 낮았고, 어음청력검사의 경우 이명이 있는 대상에서어음청취역치는 낮았지만 쾌적역치는 더 높게 나왔으며,어음명료도는 감소하였다.
    3. 이명이 있는 군의 이명 평균 주파수는 4195.2 Hz,강도는 73.6 dBHL, 이명의 감각적 크기는 평균 6.03dBSL 이었다.4. 이명 호소 주파수별로 순음청력검사의 역치를 비교한 결과 4000 Hz, 6000 Hz, 고주파수 평균(3000Hz+4000Hz+6000Hz/3)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이명주파수가 4000 Hz인 대상자에서 역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이명 호소 주파수와 순음청력역치의 가장 저하된 부분이 근접하여 있었으며, 이명주파수가 2000 Hz와 4000Hz의 경우 어음청취역치와 유의한 양의 상관이 있었다.
    6. 이명의 크기가 순음 및 어음청력에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으며 값이 증가할수록 3분법 평균, 고주파수 평균, 어음청취역치 및 쾌적역치가 증가하였고 어음명료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등도 이상의 청력저하가 있는 소음성 난청 대상자에서 이명이 있는 경우에 쾌적역치와 순음의 8000 Hz 를 제외하고 순음 및 어음청력 수준이 이명이 없는 경우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명이 있는 경우 그 크기가증가함에 따라 순음 및 어음역치가 증가하며 어음명료도를 저하시켜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보인다. 향후 다양한 청력수준의 이명 호소근로자에 대한연구가 지속된다면 이명의 특성과 청력수준과의 관련성이더욱 명확해질 것으로 사료되며, 소음작업 근로자의 청력손실에 대한 예후의 판단과 교육 및 관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innitus and hearing threshold (puretone and speech) in workers with noise induced hearing loss (NIHL).
    Methods: A total of 189 cases(378 ears) from workers with compensation claims for NIHL during 2004-2009 were investigated. Various factors, including age, work carriers, body mass index (BMI),blood pressure, noise exposure level of worksite hearing threshold, speech discrimination score, pitch match, and loudness of tinnitus were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hearing threshold of all subject was 44.2 dBHL, puretone audiometry thresholds in subjects with tinnitus were lower than the non-tinnitus group (except at 8000 Hz). Using speech audiometry, the tinnitus group showed a lower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and speech discrimination score. The tinnitus group also had an average tinnitus frequency of 4195.2 Hz, loudness of 73.6 dB, and tinnitus sensation average of 6.0 dBSL. These frequencies of tinnitus were in the lowest puretone audiometry frequencies. Tinnitus loudness had a strong relationship with puretone and speech audiometry thresholds.
    Conclusions: In cases beyond moderate hearing loss, the tinnitus group had a better puretone (except 8000 Hz) and speech hearing status, and most comfortable loudness (MCL) level. In addition, puretone and speech audiometry thresholds increase with tinnitus loud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