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칼빈의 언약 사상에 나타난 믿음과 행위의 관계에 대한 이해 -아브라함의 언약을 중심으로- (Calvin'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Works in his Thought of Covenant - Abraham's Covenant in Genesis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2.05
31P 미리보기
칼빈의 언약 사상에 나타난 믿음과 행위의 관계에 대한 이해 -아브라함의 언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34권 / 162 ~ 192페이지
    · 저자명 : 양신혜

    초록

    릴백(Peter A. Lillback)은 칼빈의 창세기 17장 주석을 통해서 칼빈의 언약 사상에 나타난 조건성과 상호성을 논증하였다. 이 결과는 한편으로는 창세기 15장에 나타난 하나님 측에서의 일방적인 언약의 특성과 모순을 다룬 반면, 다른 한편으로 이것은 창세기 22장의 행위 언약의 토대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칼빈이 창세기 15장과 17장에 나타난 아브라함의 언약이 지닌 일방성과 상호 조건성의 관계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았다.
    창세기 15장에서 칼빈이 언약의 주체이자 인간의 행복한 삶을 주관하는 하나님께서 인생의 최정점에 있는 아브라함에게 다가와 그와 언약을 맺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 맥락에서 아브라함에게 내재되어 있는 본성적인 죄의 속성에 주목함으로써 칼빈이 창세기 12장에서 아브라함이 이미 하나님을 믿었음에도 불구하고 칭의를 필요로 하는 존재라는 점을 드러내었다. 이를 토대로 칼빈이 믿음과 칭의를 구분하고 있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창세기 17장 주석에서는 아브라함을 부르시는 화자로서의 하나님의 속성을 서술하여 하나님과 아브라함과의 관계를 강조함으로써 하나님의 언약이 지닌 상호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보였다. 이로써 제기되는 17장과 15장의 모순을 칼빈은 하나님의 속성과 더불어 17장의 언약은 15장의 언약에 대한 확증에 불과하다는 논지로 이를 극복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리는 언약과 약속을 개념적으로 구분한 칼빈의 사고에 토대를 둘 때 그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남을 입증하였다.
    칼빈의 창세기 22장 주석에서 아브라함을 시험하시는 하나님의 본성 자체가 지닌 모순을 하나님의 신실하신 사랑과 권능에 대한 아브라함의 믿음으로 극복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아브라함의 행위에 대한 보상으로서의 언약의 특성이 나타나는데, 이 문제를 칼빈은 17장에서와 유사하게 15장과의 연속성에서 해결하고 있음을 보였다. 이 연속성의 관점에서 칼빈이 앞서 먼저 이룬 하나님의 은혜의 언약이 행위에 전가됨으로써 행위의 의무적 조건을 이루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칼빈의 창세기 주석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칼빈은 인간의 본성이 지닌 죄로부터 의롭다 칭함을 받는 것과 믿음을 구분한다. 둘째, 하나님의 언약은 종말론적 차원을 포함하며 하나님은 역사적 과정에서 약속을 통해서 그 언약을 이루어 가신다. 이러한 맥락에서 창세기 15장, 17장 그리고 22장에 나타난 아브라함의 역사는 하나님의 언약이 성취되어가는 약속의 역사로 드러난다. 칼빈의 주석에서 그는 종말론적 차원에서의 언약이라는 거대 구조 아래서 믿음과 행위의 관계를 역사적으로 그 언약을 성취해 나가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그 역사에서 나타나는 믿음과 행위의 시간적 선후 관계의 문제는 그 의미를 잃게 된다. 다만 인간의 본질적인 죄로부터 자유를 얻게 되는 칭의와 하나님의 언약은 구체적으로 인간의 믿음과 행위에 근거한 응답을 통해서 이루어 가신다는 사실만이 부각될 뿐이다.

    영어초록

    Peter A. Lillback demonstrates the mutuality and conditionality of Calvin's covenant thought in his Genesis-commentary, Chapter 17. However, this result is, on the one hand, in direct contradiction to Chapter 15, Genesis. On the other hand, it provides the foundation for the binding of God with activity in Chapter 22. This paper, therefore, aims at showing how Calvin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pter 15 and 17 in his Genesis-commentary; in other words, how he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a one-sided and mutual covenant character.
    In Chapter 15, Calvin takes notice that God as the subject of the covenant and the source of a happy life is coming up to Abraham in his best life. This raises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justif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hapter 12 of Genesis. Calvin approaches this relationship through the sinfulness as nature of human. Calvin differentiates faith from justification.
    Calvin shows the mutuality and conditionality of God's covenant by describing God as the speaker and by st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Abraham in his commentary Chapter 17. In addition, he argues God's covenant consists of two: declaration of God's gracious love and a sincere effort of people for perfection. It means that there is an obvious continuity between Chapter 17 and 15. Calvin demonstrates the former as a confirmation of the covenant of the latter. His logic is based on a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covenant and promise.
    In Chapter 22, Calvin presents that Abraham overcomes the contradiction of God's nature by his faith of His sincere love and power. Here God's covenant displays as a reward for Abraham's behavior. Calvin solves this problem like in Chapter 17, b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pter 22 and 15. According to Calvin, God's covenant of grace in Chapter 15 contributes to the very acting of Abraham, which fulfills God's covenant.
    A comprehensive analysis of Calvin's Genesis-commentary is as follows. First of all, Calvin differentiates between faith and justification. It means that the believers also must be justified from sinfulness of human nature despite their faith in God. Second, the covenant implies eschatological dimension, and God fulfills it with promise in human's history. In this context, Abraham's covenant in Chapter 15, Chapter 17 and Chapter 22 in Genesis presents the fulfillment of God's covenant. Therefore, the temporal successive relationship of beliefs and practices will lose its meaning on the level of large-scale structure of the eschatological covenant. It is highlighted that the believers should be justified from a sin, and God's covenant is fulfilled through their responses of acting based on fai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개혁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