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음 현저성(Mortality Salience)이 브랜드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self-esteem)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Mortality Salience on Brand Choice : Moderating Role of Self-Esteem)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2.12
12P 미리보기
죽음 현저성(Mortality Salience)이 브랜드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self-esteem)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략마케팅학회
    · 수록지 정보 : 마케팅논집(Journal of Marketing Studies) / 20권 / 4호 / 153 ~ 164페이지
    · 저자명 : 전승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죽음 현저성이 개인의 브랜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죽음 현저성의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죽음 현저성이 높은 경우(죽은 현저성이 낮은 경우와 비교하여), 자존감이 높은 개인은 전형적인 브랜드 보다 자신이 선호하는 브랜드를 더 많이 선택할 것이다. 둘째, 죽음 현저성이 높은 경우(죽은 현저성이 낮은 경우와 비교하여), 자존감이 낮은 개인은 자신이 선호하는 브랜드보다 전형적인 브랜드를 더 많이 선택할 것이다. 이 연구는 라면과 탄산음료의 제품을 가지고 약 28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설정된 가설들이 모두 지지된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MS influences consumer brand choice. This research will explore whether one’s brand preference is reversed when mortality is made salient.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when people are reminded of death, their brand choices will be polarized either to a more prototypical or to the most favored brands and self-esteem will moderate how MS affects the decision between prototypical and favorable brands. People with low self-esteem are prone to be defensive because they perceive that they have fewer and less accessible resources capable of affirming overall esteem. When mortality is made salient, low self-esteem individuals become more self-defensive and their increased self-protection motivates them to choose more prototypical brands which are perceived as standards or norms in the product categories. For people who are high in self-protection motivation during high MS conditions, brands that represent a category can function as a death-anxiety buffer by providing them with a meaningful, structured, and stable sense of reality. 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high self-esteem tend to be less defensive because they are confident in their own resource affirming self-esteem. For those who are high in self-esteem, high MS may intensify their efforts to bolster rather than defend self-esteem. Thus, their increased self-enhancing motivation drives them to select more favorable brands (vs. prototypical brands) because they believe that the brands bolster self-esteem. Through two experiments with Korean noodle and beverage brands, we confirmed the hypotheses above. Based upon the results, this study offers several impl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마케팅논집(Journal of Marketing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