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와 교육적 가치 (Meaning of Death and Value of Education in High School Art Textbook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6.06
26P 미리보기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와 교육적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14권 / 2호 / 105 ~ 130페이지
    · 저자명 : 이화식

    초록

    본 연구는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죽음이라는 주제를 교육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죽음을 종교적인 죽음과 세속적인 죽음으로 구분하였다. 종교적인 죽음은 서양 기독교의 관점, 동양 불교의 관점으로 각각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세속적인 죽음은 고대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관점, 근세쇼펜하우어와 니체의 관점, 현대 하이데거와 야스퍼스의 관점으로 각각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종교적 관점에서 보면 기독교에서 죽음은 하나의 구원으로 생각했으며, 불교에서의 죽음은 윤회의 과정에서 죽음을 이해하였다. 세속적 관점인 관념론에서는 죽음을 영혼이 해방될 수 있는 긍정적인 사태가 될 수 있고 죽음은 아직 경험하지 않았기 때문에 판단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한다. 그리고 생철학에서는 고통과 없어짐으로 보는 지극히 현실적인 관점이다. 그래서 죽음은 고통이며 피해야 하는 상황이라 한다. 마지막으로 실존철학에서 죽음은 인간의 삶에 긍정적 변혁의 힘이 될 수 있으며, 삶을 구성하는 긍정적인중요한 요소로 이해한다. 이러한 관점들을 기본으로 하여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인 『미술문화』, 『미술창작』에서 반영된 죽음을 앞의 관점(불교, 기독교, 관념론, 생철학, 실존주)에서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재 우리 중등 미술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죽음교육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미술교과에서 이루어져야 할 죽음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미술을 중심으로 죽음을 주제로 융합하는 접근은 다음 두 가지 장점이 있다. 첫째, 미술은 죽음이 갖는 정체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미술은 표상을 표현한 장르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topic of death in the art textbooks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s. To that end, the study first categorized the concept of death into religious and secular death.
    The study contemplated the concept of religious death after dividing it into the perspectives of Western Christianity and the perspectives of Eastern Buddhism. It also contemplated the concept of secular death after categorizing it into the ideological perspectives of Socrates and Plato in the ancient times, the perspectives of life philosophy of Schopenhauer and Nietzche in the modern times and the perspectives of existentialism of Heidegger and Jaspers in the contemporary times. From the religious perspectives, death in Christianity was regarded as a kind of salvation while death in Buddhism was understood as a process of the wheel of life.
    In idealism, death was regarded as something that can become a positive state to liberate the soul and cannot be judged as it has not been experienced yet, from the secular perspectives. Life philosophy had truly realistic perspectives that death is pain and disappearance. Therefore, it argued that death is pain and something we need to avoid. In existential philosophy, death was regarded as a positive force to change our life and the key positive element to shape our life. Based on these perspectives(Buddhism, Christianity, idealism, life philosophy and existentialism), this study analyzed and interpreted death reflected in the high school art textbooks 『Arts and Culture』 and 『Arts Creation』. By doing so, the study laid the foundation to propose the content on death to be included in the high school art curriculum after analyzing the current death education of the secondary art education of South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