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on Death Anxiety Experience of Catholic Believer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1.02
36P 미리보기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3권 / 2호 / 717 ~ 752페이지
    · 저자명 : 김윤미, 김성봉

    초록

    본 연구는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의 탐색을 목적으로 연구참여자들의 독특한 주관적생활세계의 복합적 현실의 맥락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질문은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자발적연구 참여자로 죽음불안 경험이 있는 50∼60세로 4개월 동안 8명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참여자 경험의 보편적인 본질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53개의 의미형성과 21개의 하위범주(주제), 그리고 10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도출된 10개의 범주들은 ‘눈에 보이지 않은 불안과 직면함’, ‘세상일과 나 자신에 몰두하며…’, ‘죽음의망각에서 의식(意識)으로 탈바꿈’, ‘삶과 죽음에 대한 재평가’, ‘나, 타인, 그리고 하느님은 하나’, ‘종교적 삶: 감사와 위로의 시간’, ‘죽음에 대한 자기 개방성의 확대’, ‘고통은 나를 성장시키는디딤돌’,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나, 하느님의 도구이자 사랑을 주고받는 존재’이다.
    가톨릭신자들은 생과 사를 오가는 극적인 한계 상황에 봉착하였을 때 비종교인과 차이가 없이죽음에 대한 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종교적 믿음의 강도와 신앙의 깊이와는 상관없다는 말이다. 그러나 죽음불안이라는 부정적인 경험은 오히려 하느님 안에서의 강한 변화의지를 통해 삶의의미와 목적이 하느님과 나, 그리고 가족, 타인, 공동체와의 유대감이 ‘우리’라는 정체성의 확장이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을 확인함으로써, 죽음사건으로 말미암은죽음불안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현대의 신앙인들에게 죽음불안에 대한 이해와 가톨릭신자들의 영적 본래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실존주의 심리치료(상담)와 영성상담을 접목한 죽음불안 교육의 중요성을 부여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 존재가 지닌 고유한현상으로서의 보편성을 띈 죽음불안의 실존적 자각에 대한 인식 증진의 방안으로 죽음불안 체험자와의 소그룹 나눔(프로그램화)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o understand th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reality of the unique subjective life world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the purpose of searching the experiences of death anxiety of Catholic.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is ‘What is the experience of death anxiety among Catholics?’ A voluntary study participant was in-depth interview with eight people over the age of 50 to 60 years with experience of death anxiety. Data analysis employs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which is suitable for analyzing the universal nature of participant experience.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53 meanings, 21 sub - categories, and 10 categories.
    The ten categories derived are ‘Confronting invisible anxiety’, ‘Iindulging in the world and myself.…’, ‘Transformation from oblivion of death to consciousness’, ‘reevaluation of life and death’, ‘I, others, and God are one’, ‘Religious life: thanksgiving and time of comfort’, ‘Expansion of Self-Openness to Death’, ‘Memento Mori’, ‘Me, the tool of God, and a loving being’.
    When Catholics were faced with the dramatic limits of life and death, they showed anxiety about death no different from non-religious people. This is irrelevant to the strength and depth of religious faith. However, the negative experience of anxiety of death, rather than a strong will of change in God, extended the identity that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is “we,” the bond between God, me, family, others, and community.
    This study is meaningful to confirm the experience of death anxiety of Catholics and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death anxiety and the spiritual originality of Catholics for modern believers who do not recognize the death anxiety caused by death. It also gave the importance of death anxiety education combined with existentialist psy chotherapy (counseling) and spiritual counseling.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 small group sharing (programming) with the death anxiety experienced as a way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existential awareness of death anx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