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음적 형태 공간의 이용 실태 분석과 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to the Actual uses and Attributes on the Negative form space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9.08
12P 미리보기
음적 형태 공간의 이용 실태 분석과 속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4권 / 4호 / 227 ~ 238페이지
    · 저자명 : 정연무, 박성룡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공간에서 건축물과 시설물들이 설치되면서 생성되는 틈, 구석, 간격, 구멍과 같은 음적 형태 공간은 주로 쓰레기 폐기나 사유물의 적치 장소로 이용되며 보행을 방해하거나 미관을 해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문제가 심각한 장소는 관계 기관이 단속과 계도를 하지만 그 효과는 크지 않으며, 이용자에게 바람직한 대응은 아니라고 보았다. 따라서 공간 구성과 인식의 관점으로 전환한 방법적 제시를 통해 대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음적 형태 공간의 형성 원리와 현장에서 발생되는 이용 실태를 분석하고 속성을 밝혀봄으로써, 향후 공공 환경의 기획과 디자인 과정에서 생겨날 수 있는 음적 형태 공간의 형성과 유발 행위를 사전에 예측하고 조절하여 긍정적인 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초 자료의 발굴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현장 관찰 조사에서 수집한 자료를 대입 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었다. 관찰 조사는 보행 가로 공간에서 발견된 음적 형태 공간을 이용한 흔적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음적 형태 공간의 개념과 4가지의 구조적 유형을 정의하고 물체 표상에 따른 행동 반응과 시각적 경험의 회상 처리 기제에 대한 지각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현장 관찰 조사에서 수집한 행위 흔적과 행동 자료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분석 연구를 통해 음적 형태 공간의 구조적·행위적 유형과 속성을 도출하고 이를 종합하여 지각 과정에 따라 정리하였다. (결과) 음적 형태 공간은 6가지의 조합 구조와 폐쇄도에 따른 4단계의 구조적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용 유형에 따라 폐기·수납의 2가지 행위적 유형과 숨김·고정·맞춤의 3가지 세부 특성을 추출하였고 폐쇄성·적합성·확산성의 3가지 활용 속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내용을 종합해 지각 과정에 따라 정리한 결과, 행위자의 목적과 음적 형태 공간의 행위적 유형이 일치할 때 양 뱡향 지각이 이루어지며 4가지의 구조적 유형과 5가지의 활용 속성의 상호 관계에 따라 구체적인 행위가 선택되고 이로 인해 남은 흔적이 음적 형태 공간을 재생성하며 순환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음적 형태 공간은 입체물이 배치되면서 필연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그러나 폐쇄도가 낮은 열린 공간일수록, 이용되는 사물의 크기나 형태가 수용될 수 없거나 고정·맞춤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일 때 활용 빈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공간에 시설물을 구성할 때 음적 형태 공간의 활용이 억제될 수 있도록 배치하거나 반대로 특정한 영역에 의도적으로 음적 형태 공간을 조성하여 이용자의 활용은 유지하되 미관을 정리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을 대신해 음적 형태 공간을 이용하도록 한다면 추가적인 시설물의 설치 없이도 공간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공공환경의 기획과 디자인 과정에서 구조·시설물의 구성과 배치에 적용되어 불필요한 규제 없이도 깨끗하고 쾌적한 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Based on the perception theory of the behavioral response and the visual experience of the object’s representation, negative form space such as gaps, corners, and holes created by buildings and facilities in public space is used mainly to store garbage or private things. It blocks the way and gives a bad image. I tried to find alternatives by changing the perspective of space composition and 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ormation principle of negative form space and its usage in the field and to identify basic data that can be predicted and adjusted to serve a positive function. (Metho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analyzing data collected through field observations. Observations were made on the traces using the negative form space found in the walking space. The concept of negative form space and the four structural types were defined through a theoretical study. I tried to find alternatives to using the facilities in public space for garbage and storage of private things by changing the perspective of space composition and cognition. (Results) The negative form space was divided into six types of combination structures and four structural typ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losure. Thre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wo behavioral types—hidden, fixed, and custom—were extracted and three utilization attributes—closure, conformity, and diffusion—were derived. The perception of the duality was made when the actor 's purpose and the behavioral type of the negative form space coincided, and a relationship was perceived between the four structural types and the five attributes. As a result, the remaining traces are reproduced and recurrently spread the negative form space. (Conclusions) The negative form space cannot be completely removed because it is inevitably formed when objects are placed. In an open space the utilization frequency is lowered when the frame or shape is unacceptable or is not suited to fixing and alignment purposes. When constructing the facilities in the spa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negative form space, or it can be intentionally created in a specific space, so that the users’ utilization of the space can be maintained. If one uses a negative form space instead of a facility, it will be possible to utilize the space without installing additional facil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structures and facilities in the public environment during the planning and design process;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create a clean and comfortable space without unnecessary reg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