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톨스토이의 「산림벌채」와 「세 죽음」에서나무의 모티브 (A Motive of a Tree in Tolstoy's work Titled “Forest Felling” and “Three Death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6.12
41P 미리보기
톨스토이의 「산림벌채」와 「세 죽음」에서나무의 모티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문학과환경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과환경 / 15권 / 4호 / 175 ~ 215페이지
    · 저자명 : 조미경

    초록

    본 연구는 톨스토이의 초기 문학 작품 중에서 중편 「산림벌채: 어느 사관후보생의 이야기」(1855)와 단편 「세 죽음」(1859)에 나타난 나무의 모티브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산림벌채」에서는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인 벨렌츄크의 죽음을 나무 벌목 문제와의 연관 선상에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단편 「세 죽음」에서는 이 작품에 대한 기존의 인간중심주의적 해석에서 벗어나, 물푸레나무의 죽음과 유사한 성격을 가진 다양한 생태계 생물들의 죽음을 상호텍스트성에 기초하여 비교분석한다.
    「산림벌채」에서 나무는 화자의 의식 속에서 철저히 타자화 되어 사건의 배경을 구성하는 요소로 인식되거나 실용적인 목적으로 이용되는 물질적 수단으로 여겨진다. 한편, 그것은 한 인간의 다가올 죽음을 예고하는 상징적 기제로 쓰이기도 하고, 기억을 떠올리는 매개체나 인간 내면의 정서적 변화를 표출하는 기제로 활용되기도 한다. 전쟁이라는 반인륜적이고 반생태적인 상황에서 초래되는 한 인간의 안타까운 죽음에 상응하여 무분별하게 파괴되고 희생당하는 생태계의 한 존재로서 나무가 비쳐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인간과 생태계의 갈등 문제는 그리 심각하게 다루어지지는 않는다.
    이에 비해 1850년대 후반에 쓰인 「세 죽음」에서 나무는 인간 존재와 동급의 생명체로 인식되어 보다 고차원적인 존재로서의 위상을 가진다. 그것은 「세 죽음」이라는 제목이 잘 보여주듯이 두 인간의 죽음과 한 그루 나무의 죽음을 같은 선상에 두고 있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세 죽음」에서 톨스토이는 나무를 절대적 가치를 지닌 이상적인 존재이며 지고한 선(善)의 상징물로 인식한다.
    본고에서는 나무가 가지는 의미를 좀 더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그것과 유사한 상황에서 죽임을 당하는 존재들이 등장하는 작품들로 중편 「산림벌채」와 단편212 문학과 환경 15권 4호「귀룽나무」, 중편 「홀스토메르」를 비교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억울한 죽음 앞에서도 한결같이 평온했던 「세 죽음」의 물푸레나무와 「산림벌채」의 벨렌츄크는 죽음을 초월하는 정신적 가치인 희생과 정직, 이타성을 보여주는 존재이다. 또한 이 등장인물들은 죽음에 저항하지 않고 평화롭게 자신의 운명에 순종함으로써 톨스토이의 무저항주의와 평화주의 사상을 대변해 준다. 둘째, 단편 「귀룽나무」에서 귀룽나무의 죽음은 인간에 의해 저질러지는 생태계 파괴의 관점에서 톨스토이의 생태 의식이 반영된 것이라면, 「세 죽음」에서는 삶과 죽음에 대한 작가의 철학적 사유가 더 강하게 부각되는 작품이다. 마지막으로, 「세 죽음」과 「홀스토메르」의 비교분석에서는 두 작품의 주인공들이 식물과 동물로서 서로 종은 다르지만 타 존재들을 위해 완벽하게 자신을 희생하고 헌신하는 삶을 보여줌으로써 인간이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전하고있다.
    이 작품들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톨스토이의 반전사상과 비폭력 무저항주의, 평화주의 사상의 기반에는 인간을 비롯하여 식물과 동물 등 이 세상의 모든 생명체들의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적 사유와 존재의 윤리의식, 그리고 생태사상이 깔려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톨스토이의 사상은 20세기에 정립되는 심층생태학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motive of a tree that was indicated in the medium length novel titled “Forest Felling: Cadet's Story”(1855) and the short story titled “Three Deaths”(1859) out of Tolstoy's early literary works. In the medium length novel “Forest Felling”, the death of Velenzug who is a main character in a work will b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an issue of cutting down a tree. And in the short story “Three Deaths”, the deaths of diverse ecological creatures, which have a similar character to the death of Fraxinus rhynchophylla, are comparatively analyzed on the basis of intertextuality, escaping from the existing anthropocentrism-based interpretation on this work.
    A tree in “Forest Felling” is thoroughly otherized in a speaker's consciousness, thereby being recognized as an element of forming the background of a case or being regarded as a material means of being used for the practical objective. Meanwhile, it is not only used as a symbolic mechanism of foretelling a human being's upcoming death and but also utilized as a medium of recalling a memory or as a mechanism of expressing an emotional change in the inside of a human being. A tree is seen, too, as an existence in ecosystem that is recklessly destroyed and 214 문학과 환경 15권 4호sacrificed corresponding to one person's pitiable death, which is caused in an anti-ethical and anti-ecological situation dubbed a war. However, a conflictual problem between a human being and ecosystem is not addressed so seriously in this work.
    Compared to this, a tree in “Three Deaths” that was written in the late 1850s is perceived as a living thing equivalent to a human existence, thereby having the status as the higher dimensional existence. As the theme titled “Three Deaths” well shows, it can be known to put two human deaths and one tree's death on the same line. In “Three Deaths”, Tolstoy recognizes a tree as an ideal existence of having absolute value and as a symbolic icon of the highest goodness. To inquire a little more deeply a meaning that a tree has, this study chose the medium length story “Forest Felling” & the short story “Prunus padus”, and the medium length story “Kholstomer” as the subjec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as the works of being appeared the existences, which are killed in a situation similar to 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runus padus in “Three Deaths” and Velenzug in “Forest Felling”, which had been constantly peaceful even in front of the wrongful death, are the existences that show sacrifice, honesty, and altruism, which are the spiritual value of transcending death. Also, these characters stand for Tolstoy's thoughts of nonviolent resistance and pacifism by obeying own destiny peacefully without resisting death. Second, in the short story “Prunus padus”, the death of Prunus padus is what was reflected Tolstoy's ecological consciousness from the perspective of destroying the ecosystem. On the other hand, “Three Deaths” is a work of being embossed more strongly an author's philosophical reason about life and death. Finally, in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ree Deaths” and “Kholstomer”, the leading characters in two 톨스토이의 「산림벌채」와 「세 죽음」에서 나무의 모티브 215 works are mutually different in species as plant and animal, but show life of completely sacrificing and devoting oneself for other existences, thereby delivering a message on which life a human being needs to mak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works, the base of Tolstoy's antiwar ideology, principle of nonviolent non-resistance, and thought of pacifism is underlain the philosophical reason on life and death,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existence, and the ecological thought in all the living things of this world such as plants and animals including human beings. In this way, Tolstoy's thought had directly and indirectly great influence upon deep ecology that is established in the 20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과환경”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