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傳奇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에 대한 재고 (Reconsideration of the Problem of ‘Death’ Shown in Roma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5.08
26P 미리보기
傳奇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에 대한 재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어문학 / 65호 / 171 ~ 196페이지
    · 저자명 : 정성인

    초록

    본고는 서사에서 나타나는 ‘죽음’의 문제에 천착하여 傳奇를 분석하는 시야를넓히고자 한 시도이다.
    傳奇的 인간은 고독성․소극성․문예취향 등의 성향을 담지하고 있다. 전기적인간의 성향 중 핵심적인 요소는 행동에 기반하고 있는 소극성이나 문예취향보다고독성, 즉 인간의 내면에 잠재하고 있는 심리적인 요소이다. 이 심리적인 요소때문에 혼사장애 등의 동일한 문제적 상황에 직면하는 서사들이 志怪와 傳奇로변별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도를 설정하고 보면 한 가지 의문이 발생한다.
    과연 傳奇的 인간의 특질이라는 것은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느냐이다. 傳奇的 인간의 특질로써 이미 전제되어 있는 것이냐, 그것이 아니면 어떠한 기제로 구현되느냐에 대한 의구심이다. 그런데 서사 내에 발생하는 ‘죽음’의 층위에 천착한다면 이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나말여초 서사에서 나타나는 죽음은 이른바 ‘서사적 종결’로써 의의를 가진다.
    서사 전개 과정에서 출현하는 사건과 갈등들이 죽음을 통해서 종식되기 때문이다. 초기서사에서 나타나는 서사적 죽음도 단일한 모습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외면적으로는 갈등을 봉합하면서 서사를 종결시키기도 하지만, 새로운 발단을 보여주는 작품들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傳奇에서 나타나는 죽음은 초기서사와는 더 큰 층위와 질적인 측면에서 변화를 가져온다. 바로 전기적 인간을 발현하는 기제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전기적 인간의 특질은 단지 전제되어 있는 것으로 볼 것이 아니라 어떠한 계기로발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 계기는 ‘죽음’이라고 볼 수 있는데, 전기적인간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서사적 죽음과는 달리 ‘傳奇的 죽음’이라고 명명할 수있을 것이다.
    그런데 전기적 죽음으로 발현되는 인물의 성향도 단일하지 않다. 고독감 등의기본적인 인물의 성향은 동일하게 탐지되지만, 전기적 인물이 지향하는 바는 상이한 양상을 나타낸다. 「최치원」에서는 죽음을 통하여 삶을 반추하는 전기적 인간이 탄생하는 반면, 『금오신화』에 이르러서는 자신의 삶에 대해 자각할 뿐만 아니라 욕망하는 자아로 변화하게 된다.
    이처럼 서사작품 내에 나타나는 ‘죽음’의 문제는 여러 층위의 의미를 가지고작용하고 있다. 초기서사에서 나타나는 죽음이 서사의 종결을 알리는 것이라면, 傳奇에서의 죽음은 전기적 인간을 형성하게 되는 지반이자 서사를 진행하게 하는 동력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傳奇에서 죽음의 문제는 동일해 보이는 전기적 인간도, 사실은 복잡다단하게 나뉨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영어초록

    This is an attempt to reconsider the problem of ‘death’ shown in narratives and rearrange romances.
    Romantic humans have the tendencies to solitude, passivity and literature preference. The core factor among the tendencies of the romantic humans is solitude, namely a psychological factor immanent in the inside of humans rather than passivity or literature preference based on behavior. Due to this psychological factor, narratives that confront the same problematic situations such as a marriage obstacle are distinguished as Zhi-Guai and romance. But, when this structure is established, one question remains. It is how the characteristic of romantic humans really exists. It is about the question whether it is already premised as the characteristic of romantic humans or if not, what mechanism it is embodied. No concrete reference is discovered in the previous discussions about the question.
    But, it is only found that characters change through the concept of ‘temporality’ that guarantees the qualitative change, one of narrative characteristics. However, when we deeply survey the layer of ‘death’ that occurs within narratives, a clue can be found.
    In the early narratives, death can be considered to be namely ‘narrative death.’ It is because the cases and conflicts emerging in the narrative development process are terminated through death. The narrative death found in the early narratives is not shown as a single appearance. While conflicts are externally solved and terminate narratives, works that show a new opening exist.
    On the contrary, the death found in the works called a narrative brings about a bigger layer and qualitative aspect than the early narratives. That is, it is because it is operates as mechanism that reveals romantic humans. The characteristics of romantic humans should be understood not as simply a premise but as revelation from a certain chance. The chance can be considered to be ‘death’ but in the point of embodying romantic humans, it can be called ‘romantic death’ different from narrative death.
    However, the tendencies of characters that are revealed as romantic death are not single. The basic tendencies of characters such as solitude are detected equally but the goals aimed by romantic characters shows different phases. In 「Choi Chiwon」, while a romantic human who ruminates life through death, it changes an ego not only realizing one‘s life but also desiring in 『Kumoshinwha』.
    Like this, the problem of ‘death’ shown in romantic works has meanings of many layers and operates. As the death shown in the early narratives notifies the termination of romances, the death in romances works as the ground to form romantic humans and the power to progress narratives.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rough the problem of death, romantic humans who look the same can be actually divided complicated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