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중혁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Death in Kim Jung-hyeok’s Nove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3.03
30P 미리보기
김중혁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45호 / 71 ~ 100페이지
    · 저자명 : 서세림

    초록

    본고에서는 김중혁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김중혁은 2000년『문학과 사회』에 단편소설 「펭귄뉴스」를 발표하며 등단한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장편과 단편을 두루 넘나드는 그의 작품세계는 다양한 영역에 관심을 두고 있는데, 특히 2010년대 이래로 지속적으로 ‘죽음’의 의미와 인식에 대하여 진지한 성찰을 담아내고자 시도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이에 본고에서는『좀비들』, 『당신의 그림자는 월요일』, 『딜리터』, 『나는 농담이다』 등 김중혁의 여러 장편소설들을 중심으로 죽음이 구현되는 양상과 그에 대한 인식을 살피며 인간의 삶에서 죽음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탐색하였다. 타자의 죽음을 경험하는 형태로 인간의 삶에 다가오는 죽음은 그로 인해 특히 다른 이들과의 관계 속에서 재확인되며 그 의미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죽음과 관련하여 어떠한 원인과 결과가 존재하는가에 관한 고민은 작가 김중혁의 작품들 속에서 다양하게 변주된다. 또한 죽음의 의미를 인식하는 것은 작품의 인물들이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김중혁은 그의 소설에서 타자의 죽음에 대한 감응 없이 죽음의 의미에 대한 온전한 이해는 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타자의 죽음은 나의 동일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나의 삶의 방식을 결정하는 데에도 기여하는 것이다. 장편소설『좀비들』에서는 살아 있는 것도 죽은 것도 아닌 상태의 좀비들과의 조우를 통하여 죽음과 삶의 공존 및 순환에 대한 인식을 보여준다.『당신의 그림자는 월요일』과『딜리터』에서는 죽음 이후 기억되는 것과 소멸되는 것에 대하여 죽은 이와 남은 이들이 어떠한 인식을 갖게 되는지, 그로 인해 죽음 이후의 삶은 어떻게 달라지고 형성되는가의 문제에 관하여 고민한다.『나는 농담이다』에서는 죽음에 대한 인식을 끝도 없는 농담과 이야기와 목소리의 형태로 남겨놓은 사람들의 모습을 통하여 이 삶의 가장 큰 비극이라고 할 수 있는 죽음 자체를 끝까지 견딜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에 대하여 탐구하고 있다. 이처럼 김중혁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은 그의 작가 세계 전반을 관통하는 문제적인 지점이 될 수 있으며, 동시에 21세기 한국현대소설의 진지한 주제 의식의 한 영역으로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of death portrayed in Kim Jung-hyuk’s novels. Kim Jung-hyeok made his debut as a writer in 2000 by publishing a short story “Penguin News” in the magazine “Literature and Society”. Since then, he has continued to write prolifically, showing interest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he has repeatedly reflected on the meaning of ‘death’ since the 2010s. In this paper, the awareness of ‘death’ was analyzed with a focus on several full-length novels by Kim Jung-hyeok. How death was embodied in his novels were examined, and the meaning of death in human life was explored. The meaning of death, which approaches human life in the form of experiencing the death of someone else, is created particularly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following the death. A contemplation on specific causes and results in relation to death appear in various ways in the writer’s various works. In his novels, Kim Jung-hyeok continues to talk about the point that it is impossible to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death without being responsive to the death of others. The death of others affects my identity,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es to determining my way of life. His work “Zombies” shows his awareness of the cycle of death and life through encounters with zombies that are neither alive nor dead. In “Your Shadow is Monday” and “Deleter”, he ponders the question of how the dead and the remaining people perceive what is remembered and dissipated after death, and as a result, how the life after death is changed and formed. In “I am a joke”, he explores another way to endure death, the greatest tragedy of life, through the images of people who have left their awareness of death in the form of endless jokes, stories, and voices. As this show, exploring the meaning of death exhibited in Kim Jung-hyeok’s novels is a problematic point that runs through his entire world as a writer. Moreover, it is significant as a serious thematic awareness in modern Korean novels of the 21st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