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 예술, 그리고 죽음 : 죽음의 선구성과 일상성의 존재론적 관계에 대한 성찰 (Poetry, Art and Death: On the Ont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Anticipation of Death and Everydaynes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9.04
30P 미리보기
시, 예술, 그리고 죽음 : 죽음의 선구성과 일상성의 존재론적 관계에 대한 성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하이데거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유럽철학연구 / 53호 / 271 ~ 300페이지
    · 저자명 : 한상연

    초록

    이 글은 전회 이후 하이데거 철학의 근본 목적이 현존재의 존재의 역사성에 대한 존재론적 해명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많은 하이데거 연구자들은 하이데거의 주저인 『존재와 시간』이 현존재의 존재의 본래적 역사성을 설명하는 데 실패했다고 간주한다. 실제로 『존재와 시간』은 현존재의 존재의 본래적 역사성에 대한 상세한 해명을 제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존재와 시간』이 주로 현존재의 존재의 근원적 양식의 하나인 일상성의 분석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물론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현존재가 본래적 자기를 되찾을 수 있는 존재론적 가능성으로서의 현존재의 죽음의 선구성을 언급한다. 그러나 그것은 간략한 설명에 그칠 뿐으로, 현존재가 근원적으로 역사적인 존재자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정도로만 제시되어 있다.
    『존재와 시간』에 따르면 일상성 역시 일종의 역사성, 즉 비본래적 역사성이다. 존재론적으로 참된 예술과 시는 본래적 역사성을 회복할 현존재의 가능성의 드러남이다. 후기 하이데거의 철학은 예술과 시가 자신의 고유한 죽음을 본래적인 방식으로 넘겨받을 수 있는 현존재의 가능성에 토대를 두고 있음을 잘 드러낸다. 물론 이것은 『존재와 시간』에서 제시된 본래성과 비본래성의 구분이 후기 하이데거 철학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자신의 고유한 죽음을 본래적인 방식으로 넘겨받을 수 있는 현존재의 가능성에 대한 이해는 결국 현존재의 존재의 실존론적 구조에 대한 존재론적 분석을 요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작업은 바로 『존재와 시간』에서 수행된 것이다.

    영어초록

    The main idea of this paper is that Heidegger’s later philosophy after the socalled ‘turn’(Kehre) should be regarded as an endeavour to develop an ontological analysis of the authentic historicity of Dasein’s being. Many Heideggereans believe that Heidegger’s major work Being and Time failed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authentic historicity of Dasein’s being. In fact, it is true that Being and Time does not deliver detailed explanations about the authentic historicity of Dasein’s being. But we should not forget that Being and Time mainly concentrate on the analysis of everydayness as an fundamental mode of Dasein’s being. Of course, in Being and Time Heidegger refers to Dasein’s anticipation of his own death as an ontological possibility to recover his authentic self, too. But it is only a brief background information which aims to help readers understand that Dasein is an fundamentally historical being.
    According to Being and Time, everydayness is a mode of historicity, namely an unauthentic historicity. And art and poetry, understood ontologically, are the revelation of Dasein’s possibility of recovering the authentic historicity of his ownmost being. Heidegger’s later philosophy shows us clearly that art and poetry are based on Dasein’s possibility to take over his own death authentically. This means, of course, that Heidegger’s distinction between authenticity and inauthenticity in Being and Time still stands in his later philosophy, too. And we should not overlook that understanding Dasein’s possibility to take over his own death authentically requires an ontological analysis of existential structures of Dasein’s being, which is carried out in Being and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유럽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