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키에르케고어와 하이데거 사상에 나타난 죽음의 교육적 의미와 죽음교육의 방향 고찰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ath and the Direction of Death Education in the Thoughts of Kierkegaard and Heidegger)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9.03
31P 미리보기
키에르케고어와 하이데거 사상에 나타난 죽음의 교육적 의미와 죽음교육의 방향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41권 / 1호 / 65 ~ 95페이지
    · 저자명 : 심승환

    초록

    본고는 키에르케고어와 하이데거 사상에서 죽음의 관점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죽음의 교육적 의미와 죽음교육의 방향을 고찰한다. 이 연구는 죽음을 도외시하거나, 일반화시킴으로써 죽음을 자신의 실존적 과제로 생각하지 못하는 문제의식에서 종교적 실존주의자인 키에르케고어와 현세적 실존주의자인 하이데거의 죽음에 관한 교육적 시각을 비교・종합한다. 양 사상가의 죽음관의 공통점은 첫째, 죽음이 보편적인 것이 아닌, 개별자의 고유하고 단독적인 자각이라는 점이다. 둘째, 양 사상가는 모두 죽음에 직면함을 통해 일종의 실존적 한계 상황인 불안 혹은 절망을 겪으며 이것이 참다운 실존의 계기가 된다고 본다. 셋째, 양 사상가는 모두 죽음에 대한 실존적 통찰을 통해 개인은, 자신의 삶을 변혁시키며 주변인 또는 모든 존재자들과의 관계를 새롭게 하는 계기를 만든다고 본다. 양 사상가의 죽음관의 중요한 차이는, 키에르케고어는 죽음의 인식이 신 및 영원성과 동반된다고 보나, 하이데거는 그와 무관한 인간의 직접적 문제로서 자신의 정신능력으로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죽음의 불안의 근본원인에 대해서도, 키에르케고어는 인간의 죄성 및 신과의 관계로 보았으나, 하이데거는 無와 삶의 피투성에 대한 두려움으로 보았다. 양 사상가의 관점에 기초한 죽음교육의 방향은, 첫째 삶과 죽음의 연관적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본래성과 개별성을 각성하도록 해야 하며, 둘째 죽음의 ‘불안’에 대해 학생 각자가 회피 또는 도피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직면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삶과 인간관계에서 진정성 있는 자세로 변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규 교육과정 및 비교과적 체험 활동을 통해서 다양한 죽음과 관련된 교육 소재를 활용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실존적 질문과 성찰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views of death in the ideas of Kierkegaard and Heidegger to discuss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ath and the direction of death education. People fail to think of death as an existential matter of their own by ignoring it in everyday life or looking at it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Seeing this problematic, this study compares and synthesizes the educational viewpoints of the death of religious existentialist Kierkegaard and secular existentialist Heidegger.
    What both thinkers have in common is, first, that death is not universal, but that each individual is independently aware of his or her own death. Second, both thinkers observe that we should face death and suffer from anxiety or despair, a kind of existential limitation, which serves as an opportunity for real existence. Third, both thinkers observe that individuals can transform their lives and create an opportunity to renew their relationships with people or things around them through their existential insights into death.
    The important difference is that while Kierkegaard believes that the perception of death is accompanied by God and eternity, Heidegger believes that it, as a direct problem for a human being, can be accomplished by one’s own mental capacity. As for the root cause of death's anxiety, Kierkegaard referred to human sinfulness and relations with God, but Heidegger drew attention to fear of nothingness and life's thrownness(geworfenheit).
    Death education based on the viewpoints of the two thinkers should first awaken each individual to his or her own authenticity and individuality by means of the associative perception of life and death. Second, each student should actively face the "crisis of death" without circumventing it or escaping from it, thus learn to have a sincere attitude toward one’s own life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related to death for regular subject curriculum and non-subject experience activities to induce students to ask existential questions and to reflect on them on their o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