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약성서가 증거하는 “믿음” (Der Glaube im Neuen Testa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2.12
26P 미리보기
신약성서가 증거하는 “믿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44권 / 4호 / 85 ~ 110페이지
    · 저자명 : 김창선

    초록

    믿음은 복음 및 칭의와 더불어 종교개혁의 핵심 신학 개념에 속하며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본 논문은 믿음에 관한 중요한 진술을 남긴 신약의 네 저자들(바울, 요한, 히브리서, 야고보서)에 국한하면서, 이들이 믿음을 어떤의미로 이해했으며 그와 직결된 신학적 특징은 무엇인지를 밝히려 한다. 바울에게 믿음은 기본적으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구원활동을 수용하는 것이며,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이며, 행위의 원리로 이해된 율법과 대립된 칭의신앙을 뜻하며 나아가 그리스도인의 삶 전체를 규정짓는 개념이다. 요한의 경우, 믿음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이며, 그것은 곧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에 대한 순종을 뜻한다. 믿음은 신앙의 눈으로 깨닫는 인식으로서 예수의 음성을 듣고, 그를 바라보고, 그를 아는 것과 다르지 않다. 나아가 요한은 믿음을 영생의 삶에 참여하는현재 종말론적 실존으로 이해한다. 이처럼 바울과 요한의 믿음 이해는 믿음의 대상으로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강조하면서 기독론적이며 구원론적인 측면을부각시키는 특징을 띠며, 믿음을 은혜의 선물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지닌다. 그러나 히브리서와 야고보서는 오히려 믿음의 주체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히브리서는 믿음을 고난에 처한 신앙공동체를 위한 권면의 문맥에서 주로 언급한다. 이때 믿음은 오래 참음, 인내, 소망과 동일한 뜻을 지니며,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확실성/보증이요 증거로 이해된다. 야고보서 역시 믿음의 주체와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강조한다. 그리하여 신앙고백의 믿음, 신뢰의 믿음, 기적의 믿음, 기도의 믿음, 행함이 없는 믿음, 실천하는 믿음에 관해 말한다. 특히 야고보서 2장 14절에서 26절에서 저자는 바울의 칭의론의 형식화를 비판하는 가운데 믿음을 구원의조건과는 무관한 지적 확신 정도로 이해한다. 히브리서와 야고보서의 믿음 이해는수신자 교회가 처한 특별한 상황과 직결되어 있다.

    영어초록

    "Glaube" als theologischer Begriff bezeichnet den Kern der christlichen Theologie und bestimmt die christliche Existenz umfaßend. Entsprechend dieser Bedeutung des Begriffes gehört er neben “Evangelium” und “Rechtfertigung” zu den wichtigsten theologischen Termini der Reformation. Trotzdem haben koreanische Neutestamentler bis jetzt nur geringes Interesse an das Thema Glaube gezeigt. Im Hinblick auf die gegenwärtige Krise der koreanischen Kirche scheint mir aber sehr erforderlich, die Frage genauer zu behandeln, was im Neuen Testament Glaube heißt.
    Unser Aufsatz zielt nicht die traditionsgeschichtliche Linie des Glaubensbegriffes darzustellen,sondern lediglich herauszufinden, in welchem Sinne die wichtigen neutestamentlichen Autoren(Paulus, Johannes, Hebräerbrief und Jakobusbrief) den Begriff “pi,stij” bzw. “pisteu,ein” versteht und welche theologischen Merkmale dabei zum Ausdruck gebracht werden.
    Für Paulus bedeutet der Glaube in erster Linie den Glauben an Gott und Jesus Christus. Das heißt, die Heilstat Gottes anzunehmen, welche durch den Tod und die Auferstehung Jesu Christi geschehen ist. Daneben bedeutet der Glaube für Paulus das absolute Vertrauen an die Verheißung Gottes und den dem Gesetz als Handlungsprizip entgegengesetzten Rechtfertingungsglaube, wie die das christliche Leben überhaupt bestimmende Größe. Für Johannes, der durchgehend nur das Verbum pisteu,w verwendet(abgesehen von 1Joh 5:4), erfüllt das Glauben als kraftvolle Bewegung alle Bereiche des Lebens und Handelns der Christen. Glauben als eschatologische Existenz bedeutet für ihn vor allem Jesus-Nachfolgen( avkolouqei/n)und das ihm Gehorchen. Daneben ist das Glauben(pisteuei/n) ist identisch, die Stimme Jesu zu hören(avkouei/n), ihn zu sehen(o`ra/n, ble,pei/n, qewrei/n) und ihn zu kennen(ginw,skein).
    Anders als Paulus und Johannes konzentrieren sich der Hebräerbrief und der Jakobusbrief nicht auf die objektive Seite des Glaubens, sondern auf die subjektive Seite.
    Für den Hebräerbrief, in dem sich eine Theologie des Glaubens entfaltet wird, wird der Glaube nicht im Kontext der Christologie erwähnt, sondern im Zusammenhang mit der Ermahnung der Glaubensgemeinschaft, die sich in Krise befindet. Da wird der Glaube nicht nur als geduldiges Ausharren und Hoffnung verstanden, sondern auch als ein Feststehen wie ein Beweis für die Verheißung Gottes. Der Jakobusbrief hat ein breites Spektrum des Glaubens, welches mit dem Subjekt des Glaubens zu tun hat.
    Es reicht vom Bekenntnisglauben, über den Vertrauensglauben zum Wunderglauben und Gebetsglauben bis hin zum werklosen toten Glauben und praktizierten Glaub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신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