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玥’의 한국한자음 문제 (Sino-Korean Pronunciation of “玥”)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0.08
20P 미리보기
‘玥’의 한국한자음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문학 / 104권 / 47 ~ 66페이지
    · 저자명 : 이재혁

    초록

    이 논문은 ‘玥’의 한국한자음 문제를 고찰한다. 한국어 어문규범상 중국인의 인명은 원음을 음역하여 표기함이 원칙이나,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한국한자음 표기가 왕왕 사용된다. 그런데 최근 ‘玥’ 자형의 ‘yuè[ɥe]’가 ‘모[mo]’로 표기되는 사례가 발견되고 있는데, ‘yuè[ɥe]’와‘모[mo]’의 독음쌍은 매우 괴리가 크다. 본고는 漢籍 데이터베이스인 《中國基本古籍庫》를비롯한 문헌조사를 통해 ‘玥’의 역대 용례와 독음을 조사하여, 이러한 대응관계가 발생한 원인을 밝혔다. ‘玥’은 中古 月小韻字로, 규칙변화를 거쳤다면 표준한국어에서는 ‘월[wʌl]’로 변화했어야 한다. ‘玥’이 ‘모[mo]’라는 독음을 얻게 된 것은 다음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것이다. 첫째, ‘瑁’의 古字인 ‘ ’와 ‘玥’은 자형상 매우 유사하여 혼동되기 쉽다. 둘째, ‘玥’은중국에서 明代가 되어서야 본격적으로 인명에 사용되었으며, 국내에서는 해당 자형이 통용되지 않았다. 셋째, 국내 전산 기술표준 제정 과정에서 ‘玥’의 표준음을 ‘모’로 설정하였는데, 이는 국내 용례가 극히 적은 ‘玥’ 대신, 당시 코드가 부여되지 않았던 ‘ ’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행 Unicode 환경에서는 ‘ ’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玥’에 부여되었던 ‘모’ 독음을 ‘ ’로 이관하고, ‘玥’에는 ‘월’이라는 단독 표준음이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 of the Sino-Korean pronunciation of “玥”. In Korea, it is normative to transliterate a Chinese name according to its original pronunciation. However, in actual speech and writing, the Sino-Korean pronunciation is adopted quite frequently. Recently, the character “玥”, which has the Mandarin pronunciation “yuè[ɥe]”, is found transcribed as “모[mo]”.
    The pronunciations “yuè[ɥe]” and “모[mo]”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annot be regarded as a corresponding pair. Through investigating historical literature, and utilizing the Chinese text database Zhongguo Jiben Gujiku, we have discovered the cause of such a mismatch.
    “玥” was homophonous with “月” in Middle Chinese, and if it underwent regular phonetic changes, its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would have been “월[wʌl]”. “玥” seems to have gained the pronunciation “모[mo]”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 ”, the ancient graph of “瑁”, is considerably similar in graphic shape to “玥”. Secondly, in China, the graph “玥” came to regular use no earlier than the Ming dynasty, the usage of which was mostly limited to proper nouns, and it is hard to assume that it was a part of the regular Chinese character inventory in the Korean Peninsula. Thirdly, while establishing the Korean national technological standard, the pronunciation “모[mo]” is issued to “玥”, which seems to be a temporary measure to encode “ ”, instead of the rarely used “玥”. Since the current version of Unicode supports the encoding of “ ”, the pronunciation “모[mo]” should be transferred to “ ”, and leave “玥” with the single pronunciation of “월[wʌ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