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원적 관점의 역사인식은 내러티브 역량의 진전을 어떻게 촉진할 수 있는가?: 조선시대 세종의 정책에 대한 수업을 중심으로 (A History Class Plan for Developing Students' Narrative Competence: A multiperspectivity Understanding of Sejong's Policy in the Joseon Dynast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3.03
44P 미리보기
다원적 관점의 역사인식은 내러티브 역량의 진전을 어떻게 촉진할 수 있는가?: 조선시대 세종의 정책에 대한 수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교육연구 / 45호 / 55 ~ 98페이지
    · 저자명 : 이효근

    초록

    국가 교육과정에서 역사교육의 입지 축소에 대한 우려가 높다. 역사교육이 학생들의 성장에 가치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면, 학생들의 삶과 연계하여 유의미하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역량’에 주목하였다. ‘내러티브 역량’은 주어진 과거의 사실을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지식과 결합하여 하나의 이야기로 조직하고, 학습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의미 있는 해석을 도출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말한다. 내러티브 역량의 진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다원적 관점의 원리에 기초한 세종의 사민 정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러한 변화가 학생들 스스로 역사를 해석하고 내러티브화 하는 능력과 어떤 식으로 연관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3차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적절히 계획된 수업을 기반으로 하나의 사건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자신의 관점을 형성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경험이 내러티브 역량 진전의 토대이다. 내러티브 역량을 통해 다른 역사적 사례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은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여 자신의 관점에서 주장을 명확하게 드러내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진전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교과서의 관점에서 벗어나 자신의 관점에서 세종의 사민 정책을 바라보고 판단하여 자기 내러티브를 형성하고 표현했다. 정형화된 내러티브 템플릿에서 벗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학습 경험은 현재의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다양한 상황과 맥락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 현재와 비슷한 역사적 사례를 분석하여 판단함으로써 사실이나 사건에 숨겨진 이면, 갈등을 자신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판단하는 경험은 현실 문제의 본질을 다각도로 이해하고 의사결정에 참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지식에 몰입된 역사수업에서 벗어나, 삶과 역사를 연계하여 사유하는 역사수업으로 나아감으로써, 역사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진작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re is a high concern about the reduction of the position of history educat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If history education is to provide valuable learning experiences for students' growth, it is necessary to find a meaningful way to approach them in connection with their lives.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narrative competence’. “Narrative competence” refers to the ability to combine a given past fact with the learner's existing knowledge to organize it into a story and derive meaningful interpretations or solve problems based on the learner's experience. As a way to promote the progress of narrative competence, we tried to examine how students' perceptions of Sejong's migration policy based on the principle of multiperspectivity and how such changes relate to students' ability to interpret and narrate history on their own. Through the 3rd clas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understood an event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formed their own perspective based on an appropriately planned class. This experience is the basis for narrative competence progress. When applied to other historical cases through narrative competence, students were able to observe that their ability to clearly reveal arguments or solve problems from their own perspectives was progressing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erspectives. Students devi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xtbook and looked at and judged Sejong's migration policy from their own point of view to form and express their own narratives. It showed a pattern of deviating from the formalized narrative template. These learning experiences can be helpful in various situations and contexts encountered in current daily life. By analyzing and judging historical cases similar to the present, the experience of looking at and judging conflicts hidden in facts or events from one's own point of view can help to understand the nature of real problems from various angles and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help promote students' interest and interest in history by moving away from history classes immersed in knowledge and moving toward history classes that think in connection with life and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