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천적 교육학’은 실천할 수 있는가? - W. Carr의 phronesis 해석과 교육적 실천의 문제 (Lässt sich die ‘praktische Pädagogik’ praktizieren? - W. Carrs Verständnis von phronesis und das Problem der pädagogischen Praxi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3.09
19P 미리보기
‘실천적 교육학’은 실천할 수 있는가? - W. Carr의 phronesis 해석과 교육적 실천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35권 / 3호 / 161 ~ 179페이지
    · 저자명 : 정영근

    초록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및 교육의 이론-실천 관계는 교육철학 연구자의 주요 관심사로 그간 한국교육철학학회에서도 여러 차례 논의되었다. 또한 2000년대 들어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실천 개념에 근거하여 교육철학을 실천철학으로 이해하면서 교육적 실천을 논의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 논의와 글에서는 영국의 교육학자 W. Carr의 아리스토텔레스 해석을 수용하여 연구자의 논지를 전개하고 있는바, “교육철학연구와 교육실천”을 주제로 했던 2013년 춘계학술대회에서도 그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arr의 phronesis 개념 이해를 고찰한 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Ⅰ-Ⅵ권의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여 Carr의 내용과 비판적으로 비교·서술한다. 그 결과 Carr가 phronesis를 합리적 추론 및 판단의 측면에 치중하여 해석함으로써 제시할 수 있었던 “practical educational science”가 과연 교육적 실천에 적합한 이론적 구상인지 의문을 제기한다. 왜냐하면 인간 영혼의 총체적 관점에서 도덕적 행위의 결단과 선택 그리고 그 책임성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이 Carr의 논의에서 배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 부분에서는 Gadamer와 Habermas의 철학적 개념과 이론 틀에 의지하여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을 제시한 Carr가 역시 동일한 기반에 근거하는 독일의 교육학적 사조 및 논의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점을 한국의 상황과 연계하여 제시한다.

    영어초록

    In der gegenwärtigen Diskussionen der Allgemeinpädagogik in Korea beobachten wir immer wieder den Versuch, Pädagogik als eine Wissenschaft zu bestimmen, die auf die Erziehungspraxis gerichtet wird. Dabei berufen sich die Autoren häufig auf einen britischen Erziehungswissenschaftler namens W. Carr, der sich aufgrund der Aristotelischen Nikoma- chischen Ethik seine Begründung der ‘educational practice’ als ‘social practice’ zu rechtfertigen unterfängt. Es scheint sehr seltsam zu sein, dass alle Autoren in der koreanischen Diskussion verlassend auf Carr seine Meinung zitieren und wiedergeben, was die Aristoteles-Interpretation angeht.
    Die Intention dieses Beitrags ist zu prüfen, inwieweit Carrs Interpretaion in Bezug auf ethische Tugenden in der Nikomachischen Ethik Gültigkeit für die Erziehungswissenschaft beanspruchen kann. Um dieses Ziel zu erreichen, wird zuerst die Carrsche Darlegung der Sache zusammengefasst und dann die Nikomachische Ethik vom ersten bis zum sechsten Buch gründlich untersucht und hinsichtlich auf die pädagogische Praxis interpretiert. Danach werden Unterschiede der Interpretation zwischen Carrs und von mir kritisch vergleichend untersucht.
    Als das Resultat dieser Untersuchung ist herausgestellt worden, dass Carr bei der Auseinandersetzung mit dem Phronesis-Begriff hauptsächlich auf die Rationalität des Menschen konzentriert und dabei den Entscheidungs- und den Verantwortlichkeitscharakter des Handelnden völlig vernachlässigt hat. Aus dieser Tatsache ergibt sich die Frage, ob sich seine ‘practical educational science’ überhaupt praktizieren lassen kann, ohne dass sie das gut gemeinte Handeln eines Menschen auf seine Entscheidung und Verantwortung einbezie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