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차연의 문체에 드러난 불확정성의 미학-박태원의 소설 「거리」, 「전말」, 「길은 어둡고」론- (Style of difference, aesthetics of incomplete -focused on 「Street」, 「Whole Story」, 「Road is unclear and…」 by Park Tae-w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7.09
30P 미리보기
차연의 문체에 드러난 불확정성의 미학-박태원의 소설 「거리」, 「전말」, 「길은 어둡고」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67호 / 325 ~ 354페이지
    · 저자명 : 김아름

    초록

    이 연구는 박태원 소설의 문체론적 접근에 대한 외연을 보다 확장시킬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소외되어 온 단편소설 「거리」, 「전말」, 「길은 어둡고」를 대상으로 한다.
    이 글에서는 이들의 문체적 특징을 점검하였으며, 이 세 소설의 주제의식과 맞닿아있는 ‘불확정성’이라는 개념을 도출하였다. 특히 이 불확정성은두 가지 문체론적 양상으로 표출되고 있었다. 첫째, 「거리」와 「전말」에서보인 ‘모르다’를 통한 부인의 문체다. 이러한 문체는 독자로 하여금 ‘의미’ 의 파악을 유보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둘째, 「전말」과 「길은어둡고」에 등장하는 ‘믿을 수 없는 화자’를 통해 서사의 진행을 침해하는문체다. 이들 작품에 드러난 문체는 서사의 원만한 진행을 의도적으로 침해하면서 불확정된 서사를 구사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그리고 이러한 불확정성은 그 나름의 기대지평을 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두 가지 문체적 양상을 ‘불확정성’을 앞세워 의미를 지연시키고 서사를 침해하는 전략을 표방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차연의 문체’라 명명하였다. ‘명료성’과 ‘정확성’이라는 1930년대 리얼리즘의 시대적 랑그가 존재했다면, 박태원은 ‘차연의 문체’를 통해 시대적 랑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모더니즘의 문체를 구축했음을 분석하였다.

    영어초록

    Novelist Park Tae-won is one of those who made relentless efforts to find his own styles in the literary writing. This paper sheds a light on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uch styles and modernism.
    Modernists, many of whom were part of Guinhoe, carried out experiments on literary formats and emphasized linguistic innovations. To them literature was not a reflection of reality but linguistic architecture. They came after excellence by taking new approaches.
    The new literary movement well explains the importance of studying how the new approaches are reproduced in writing. This looks at how Park Tae-won in literary writing used his styles. We called it “style of difference”.
    The “style of difference” that discusses readability of his novels and looks at how the changing of styles makes sentences less comprehensible. Tae-won changes the points of view without giving a clear sign. He does it by hiding subjects, a technique that reduces the readability of his works.
    In addition, he in 「Whole Story」 uses many lines with “don’t know” that lead to questions and guesses on unclarities. This study walks you through the roles that the switching between complete and incomplete lines plays in his novels and studies how this style makes sentence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readers to contemplate. This is what differentiates Tae-won from other novelists in the 1930s in which simplicity was valued over complex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