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목 불안정성은 힘의 안정성 및 근육의 질적 변화에 영향을 주는가? (Does ankle instability affect force steadiness and muscle quality change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5.05
12P 미리보기
발목 불안정성은 힘의 안정성 및 근육의 질적 변화에 영향을 주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코칭능력개발원
    · 수록지 정보 : 코칭능력개발지 / 27권 / 5호 / 122 ~ 133페이지
    · 저자명 : 배규현, 조현덕, 김맹규

    초록

    본 연구는 힘 출력과 보행 패턴의 자각적 문제가 없는 만성 발목 불안정성(chronic ankle instability)을 가지는 집단의 건측과 환측 힘안정성(force steadiness, FS), 근활성도 및 근육 특성과 함께 발목의 기능적 수행 능력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CAI 중 외측발목염좌를 경험 후 최소 3개월 이상 경과한 20대 남성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보행 패턴의 평가와 함께 발목기능적 수행능력의척도인 Y-balance 검사 및 3가지 hop 검사를 각각 수행하였다. 발바닥 굽힘(plantar flexion)의 FS를 평가하기 위해 최대 자발적 등척성수축(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의 15, 30 및 50% 힘 출력 유지 시 변동계수로 정량화하였으며, 평가 동안 표면근전도를 활용하여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 TA), 가자미근(soleus, SOL), 비복근 외측(gastrocnemius lateral, GL) 및 내측(gastrocnemius medial, GM)의 근활성도를 각각 평가하였다. 또한, 각 근육의 기계적 속성을 측정하고, 근육 질을 평가하기 위해 B-mode 초음파를 이용한 이미지를 통해 반향세기(echo intensity, EI)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10-m 보행동안 건측과 환측 간 gait cycle, stride 및 step length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5), 하체 기능평가를 위해 실시한 Y-balance 검사 결과 3가지 방향 모두에서 환측은 건측 보다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1). MVIC 근력은 건측과 환측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p>.05), FS의 경우 MVIC 15% 와 30%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근활성도(RMS) 분석결과, MVIC 15%에서는 TA와 GL이, 30%에서는 SOL이, 50%에서는 SOL과 GM의 근활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EI를 분석한 결과 SOL과 TA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기계적 속성의 분석에서는 SOL(Creep, Relaxation time, Frequency, Stiffness), GM(Creep, Relaxation time)에서 건측과 환측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적으로, CAI 경험자의 최대 근력 발휘 양상 및 보행 패턴에서 변화가 없다고 할지라도 이전환측 내 하퇴 근육의 질적 감소 및 근육 속성의 감퇴로 인한 FS 결여, 신경근 조절능력의 약화와 함께 발목 기능의 수행력 저하가 관찰되었다. 흥미롭게도, 보행, 통증 및 힘 출력에서 큰 지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CAI 경험자는 신경근 기능향상을위한 재활훈련과 더불어 근육의 질적 개선을 목표로 하는 다면적 운동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on muscle functional performance with force control ability and muscle quality. It was conducted on 12 young adults with CAI.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status of muscles and soft tissues was assessed using Myoton and ultrasound. Muscle function tests were evaluated using the Y-Balance, 10m walk, and Hop tests. Sub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at 15, 30 and 50% of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level were measured to assess force steadiness (FS). In addition,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assess neuromuscular status.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both the affected and healthy sides of the subjects. The functional performance test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ffected and healthy sides. The F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15 and 30%. The ultrasound measurement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leus and tibialis anterior. The mechanical property analysis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ep, frequency, and stiffness in the gastrocnemiu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ep and relaxation in the medial gastrocnemiu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unctional performance of ankle was deteriorated due to the qualitative decrease of the calf muscles in the affected side and the decrease in muscle properties, along with the lack of force control ability and the weakening of neuromuscular control due to the history of ankle injury. Therefore, when developing a rehabilitation program for ankle instability, a multifaceted functional improvement exercise program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muscles along with training for neuromuscular improvement will be necess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칭능력개발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