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철학의 구축과 건축적 사유 - 은유로서 건축과 철학적 건축술 - (A Study of Architectonic Thinking in Philosophy and Architecture as Metaphor)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2.02
12P 미리보기
철학의 구축과 건축적 사유 - 은유로서 건축과 철학적 건축술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31권 / 1호 / 77 ~ 88페이지
    · 저자명 : 강혁

    초록

    본 연구는 서구 철학의 건축에 대한 특별한 관심에 주목하면서 철학과 건축과의 관계에 대해 논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철학의 건축에 대한 이해에 대한 규명이기도 하며, 철학의 자기 정립에 어떻게 건축이 기여하였는지를 밝히는 것이기도 하다.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서구 철학사는 사유를 전개하기 위한 수단으로 건축을 동원해왔다. 건축은 철학 시스템의 모델로서 특권적 지위를 지니고 있었는데, 그것은 정연한 논리 체계의 수립이 철학의 제일가는 목표였기에 건축을 참조하면서 철학의 사유가 건축적 속성을 띠기를 바랐기 때문이었다. 철학의 담론이 건축을 이상적 모델로 삼아 견고하고 안정된 체계를 수립하고자 했으며, 그 과정에서 서구 철학은 구축적인, 혹은 건축적(Architectonic)인 특성을 띠게 되었다. 그런데 철학 담론에서 논의된 건축은 실체로서 건축이 아니라 은유로서 건축이었다. 건축을 은유 삼아 철학은 서구 철학함을 사유의 건립으로 규정하고 자신을 ‘학문의 학문’으로 주장할 수 있었다. 건축을 참조해 철학의 정초(定礎)가 가능했던 것은 서구에서 건축이 단순한 짓기(building)가 아니라 근원적인 건립’으로서 아르케(arche)와 테크네(techen)를 품은, 진정한 앎(知)을 수반하는 제작(poesis) 활동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체계와 질서를 목표 삼는 구축중심적인 서구의 철학적 건축술은 통일된 형식을 지향하기에 동일성을 강조하고 타자성을 억압하는 경향이 있다. 서구 주류 철학의 로고스 중심주의는 건축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은유로서 건축이 지니는 문제와 한계를 제기한다. 이런 배경에서 근대에 등장한 반건축적 사유는 서구 철학, 특히 형이상학이 지닌 구조의 부실성 내지 토대의 부재에 주목하고, 합리적 이성을 해체하고 타자성과 차이를 강조한다. 건축적 사유가 철학의 기저에 깔려 있는 체계와 질서, 이성과 논리, 그리고 동일성에 대한 욕망과 의지를 드러낸다면, 반건축적 사유는 그것이 지닌 문제와 한계를 지적하면서 그 바깥의 다른 사유의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흐름으로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동시대의 탈근대적 사유와 해체론은 철학의 구축적 사유에 대한 반발로 볼 수 있으며 건축 실무에도 깊은 영향을 미쳐 새로운 사조를 낳고 있다. 실로 서구 철학과 건축 사이의 상호의존 관계와 길항 작용은 특권적 은유로서 건축이 담론의 구축에 담당했던 역할에 주목하게 한다.

    영어초록

    Architecture had played a significant role model in philosophy because the construction of building represented doing philosophy. ‘Architecture as metaphor’ made it possible that doing philosophy was a kind of construction of thinking and western philosopher considered himself as an architect of idea. As a system of system, architectural analogy gave philosophy a chance to insist himself as a theory of theory. So architecture had always been a privileged model of discourse system and also a fundamental metaphor in philosophy. Because of its original meaning, Architecture as techne could be considered as poiesis, that was the special building(making) in western culture. The archi(arche) - structure(techne) was a ideal model and mechanism of philosophy because with this analogy doing philosophy became a kind of building act to make a logical system of idea. This kind of tradition in philosophy, especially metaphysics, made the characteristics of western philosophy ‘architectonic’ that implied the meaning of the rational, stable, hierarchical and holistic. But this kind of tradition exposed the problem of philosophy that focused on Identity and excluded the others. The logocentrism of western philosophy was also the limitation of architectonic thinking and its reductionism became a grand monologue which only allowed systematic, rational discourse. Its ideological position Inevitably caused the anti-architectural thinking in modern age as a diverse form of new trend of thinking as like postmodernism or deconstruction. Even Deconstructivism, or ‘informe’, non-representation in architecture depends upon anti-architectural thinking.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s metaphor and the building of philosophy is problematique iss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