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적 관점에서 본 융심리학의 콤플렉스, 집단적 무의식, 개성화 (Jungian Psychology’s Complex,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Individuation from a Buddhist Perspectiv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3.06
40P 미리보기
불교적 관점에서 본 융심리학의 콤플렉스, 집단적 무의식, 개성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밀교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밀교학연구 / 3권 / 355 ~ 394페이지
    · 저자명 : 윤희조

    초록

    본고는 융심리학을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콤플렉스는 유위법 또는 번뇌로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융은 자신의 심리학을 콤플렉스의 심리학이라고 이름 붙일 만큼 콤플렉스는 핵심 개념이다. 불교적 관점에서 콤플렉스는 넓은 의미에서는 유위법을, 좁은 의미에서는 번뇌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콤플렉스는 유위법의 특징과 번뇌의 특징을모두 가질 수 있고, 심・심소의 구분에서 보면 심소, 즉 마음작용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콤플렉스의 범주에는 자아, 그림자, 페르조나, 원형이 있다. 자아는 의식의 중심으로 자아콤플렉스라고도 불리고, 페르조나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외적 인격으로 기능 콤플렉스이다. 그림자는 억압된 열등한 내적 인격으로 본성에 근원으로 있는 원시적 정신으로서 동물적 충동양식이고, 전형적인 콤플렉스이다. 원형은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인간 행태의 선험적 틀로서 무수히 많은 원형이 존재하고, 숙명적으로나타나는 체험 콤플렉스이다.
    둘째, 집단적 무의식은 윤회적 함축을 가진다는 점이다. 융심리학에서마음의 차원은 의식, 개인무의식, 집단적 무의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림자는 개인무의식의 영역에서 작용하고, 원형은 집단적 무의식의 영역에서 작용한다. 집단적 무의식은 개인적으로 획득되지 않고, 유전 덕택이고, 상속되고, 선재하는 틀이고, 집단적 무의식의 내용인 원형은 선천적으로 주어진 것이고 유전되는 것이다. 이 점에서 집단적 무의식과 그 내용인 원형은 윤회적 함축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붓다는 숙명지와 천안지를 통해서 자신과 모든 존재들의 윤회를 직관함으로써 윤회의 실재성을 드러내었고, 융도 윤회를 심리적 실재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팔식의 이명으로 사용되는 유분식, 이숙식, 유지식에서 윤회적 함축을 볼 수있다.
    셋째, 개성화는 개체성과 전체성, 고유성과 보편성의 관점에서 볼 수있다는 점이다. 융심리학은 무의식의 의식화를 통해서 의식의 중심인 자아에서 전체 정신인 자기로 나아가는 것, 즉 개성화를 목표로 한다. 개성화는 진정한 개인이면서 전체 자기로 나아가는 것이다. 개성화는 고유성과 보편성의 의미에서 개인의 개체성과 전체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개성화는 개인이 개체로서 고유하게 가지는 번뇌와 마음작용에 대한 이해와 동시에, 인간이 보편적으로 가지는 전체성으로서의 유위법과 마음의 본래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추구한다. 이러한 개성화 과정은 견도에서수도로 나아가는 불교의 깨달음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Jungian psychology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the complex can be seen as defilement or conditioned dhammas. The complex is a key concept enough for Jung to name his psychology the psychology of the complex. From a Buddhist point of view, a complex can be said to mean conditioned dhammas in a broad sense and defilement in a narrow sense. The complex can have both the characteristics of conditioned dhamma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filement, and it can be said that it corresponds to the action of the mental function in terms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ind and the mental function. The category of complex includes ego, shadow, persona, and archetype.
    The ego is the center of consciousness and is also called the ego complex, and the persona is an external personality required by society and is a functional complex. The shadow is a typical complex with a suppressed inferior inner personality, and the archetype is an experience complex that fatefully appears as a transcendental frame of human behavior that we have from birth.
    Seco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has a rebirth implication. In Jungian psychology, the dimension of mind can be divided into consciousness, personal unconscious, and collective unconscious. The shadow works in the realm of the personal unconscious, and the archetype works in the realm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e collective unconscious is not personally acquired, but is a genetic, inherited, and pre-existing framework, and the archetype, which is the content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is innately given and inherited.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collective unconscious and its content, the archetype, have a rebirth implication. Buddha revealed the reality of rebirth by intuition about rebirth of himself and all beings, and Jung also acknowledges rebirth as a psychological reality. In addition, we can see the implication of rebirth in the vipāka consciousness, bhavaṅga consciousness, and ādāna consciousness, which are used as the other names of the eighth consciousness in Yogacara Buddhism.
    Third, individuation can be seen in terms of individuality and wholeness, uniqueness and universality. Jungian psychology aims to move from the ego, the center of consciousness, to the Self, the whole mind, that is, individuation, through the consciousization of the unconscious. Individuation is to become a true individual and to become a whole Self. Individuation can be said to show the individuality and wholeness of an individual in the sense of uniqueness and universality. Individuation seeks to understand the defilement and mental function uniquely possessed by individuals as individuals, and at the same time to understand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mind as a universal whole and human beings. This process of individuation can be seen as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in Buddhism, from Seeing of the Way to Cultivation of the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밀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전